본문 바로가기
2008.07.24 15:49

모량리와 모량부리

조회 수 6700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량리와 모량부리

땅이름

경북 건천읍 모량리는 ‘양곡·역촌·모양’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역’이 붙은 것은 중앙선 기차역이 생긴 이후의 일이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름은 ‘모량’ 자체다. 토박이 사람들은 모량에도 안 모량과 밖 모량이 있었음을 기억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모량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지 못한다.

<삼국사기> 땅이름에서 ‘모량’이 나타나는 곳은 무진주다. 이곳의 옛 이름은 ‘모량부리’였는데, ‘부리’는 마을을 나타내는 땅이름이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자 표기에서 ‘량’(良)은 처소나 방위를 나타낼 때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향가에 나타나는 ‘차량’(此良)은 ‘이에’, ‘수량’(手良)은 ‘손에’로 풀이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모량’도 ‘모’에 해당하는 이름말과 처소나 방위를 나타내는 말로 풀이할 수 있다. 이런 이치를 참고할 때 ‘모량’은 ‘산’을 뜻하는 ‘뫼’에 처소를 나타내는 ‘에’로 분석할 수 있다. ‘모량리’가 산을 배경으로 형성된 마을이듯이, ‘모량부리’도 무등산을 끼고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을 갖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임진 옛 이름의 ‘모화’(毛火)나 동래의 ‘모등변’(毛等邊)도 ‘묏벌’이나 ‘묏가’를 뜻하는 말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까닭은 이들 땅이름이 산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 일이 두루 그러하듯, 소리와 뜻이 바뀌면서 먼 후일에는 무엇을 나타냈는지조차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아지는 것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다를 바가 없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9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34
2094 우리말의 짜임새와 뿌리 바람의종 2008.03.07 9564
2093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56
2092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54
2091 내 자신 바람의종 2010.07.05 9553
2090 조언과 충고 바람의종 2012.05.22 9551
2089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50
2088 영계 바람의종 2007.08.07 9549
2087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49
2086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48
2085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547
2084 간지 바람의종 2010.08.03 9544
2083 지루하다 바람의종 2007.03.27 9541
2082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540
2081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32
2080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31
2079 지붕 바람의종 2010.05.31 9530
2078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29
2077 ‘렷다’ 바람의종 2010.04.27 9525
2076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22
2075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21
2074 호두과자 바람의종 2008.04.10 9521
2073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2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