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4 15:49

모량리와 모량부리

조회 수 6707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량리와 모량부리

땅이름

경북 건천읍 모량리는 ‘양곡·역촌·모양’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역’이 붙은 것은 중앙선 기차역이 생긴 이후의 일이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름은 ‘모량’ 자체다. 토박이 사람들은 모량에도 안 모량과 밖 모량이 있었음을 기억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모량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지 못한다.

<삼국사기> 땅이름에서 ‘모량’이 나타나는 곳은 무진주다. 이곳의 옛 이름은 ‘모량부리’였는데, ‘부리’는 마을을 나타내는 땅이름이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자 표기에서 ‘량’(良)은 처소나 방위를 나타낼 때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향가에 나타나는 ‘차량’(此良)은 ‘이에’, ‘수량’(手良)은 ‘손에’로 풀이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모량’도 ‘모’에 해당하는 이름말과 처소나 방위를 나타내는 말로 풀이할 수 있다. 이런 이치를 참고할 때 ‘모량’은 ‘산’을 뜻하는 ‘뫼’에 처소를 나타내는 ‘에’로 분석할 수 있다. ‘모량리’가 산을 배경으로 형성된 마을이듯이, ‘모량부리’도 무등산을 끼고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을 갖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임진 옛 이름의 ‘모화’(毛火)나 동래의 ‘모등변’(毛等邊)도 ‘묏벌’이나 ‘묏가’를 뜻하는 말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까닭은 이들 땅이름이 산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 일이 두루 그러하듯, 소리와 뜻이 바뀌면서 먼 후일에는 무엇을 나타냈는지조차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아지는 것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다를 바가 없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19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59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557
1368 몰래 입국, 몰래 출국 바람의종 2010.04.19 12268
1367 몰래 요동치는 말 風文 2023.11.22 1079
1366 몬뜰래기 벗곡! 바람의종 2010.04.02 11721
1365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27
1364 목재가구 / 목제가구 바람의종 2009.11.23 13198
1363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744
1362 모호하다 / 금쪽이 風文 2023.10.11 1119
1361 모하구로? 바람의종 2009.06.11 5868
1360 모자르다, 모자라다, 모잘라, 모자른, 모잘른 바람의종 2010.06.01 25254
1359 모음의 짜임새 바람의종 2008.01.06 5757
1358 모아지다 바람의종 2008.11.25 7524
1357 모시는 글 바람의종 2008.04.27 17143
1356 모순 바람의종 2007.07.03 5759
1355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13
1354 모밀국수 바람의종 2009.02.12 6300
1353 모리배 바람의종 2007.07.02 16492
1352 모르지비! 바람의종 2009.03.23 6012
»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07
1350 모디리 바람의종 2009.03.27 6656
1349 모둠, 모듬 바람의종 2009.10.08 10076
1348 모두에게? 바람의종 2009.03.25 5372
1347 모기버섯, 봉양버섯 바람의종 2009.11.19 1359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