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4 15:49

모량리와 모량부리

조회 수 6709 추천 수 1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모량리와 모량부리

땅이름

경북 건천읍 모량리는 ‘양곡·역촌·모양’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린다. ‘역’이 붙은 것은 중앙선 기차역이 생긴 이후의 일이므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름은 ‘모량’ 자체다. 토박이 사람들은 모량에도 안 모량과 밖 모량이 있었음을 기억하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모량이 무엇을 뜻하는지는 알지 못한다.

<삼국사기> 땅이름에서 ‘모량’이 나타나는 곳은 무진주다. 이곳의 옛 이름은 ‘모량부리’였는데, ‘부리’는 마을을 나타내는 땅이름이었음을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자 표기에서 ‘량’(良)은 처소나 방위를 나타낼 때 쓰이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향가에 나타나는 ‘차량’(此良)은 ‘이에’, ‘수량’(手良)은 ‘손에’로 풀이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모량’도 ‘모’에 해당하는 이름말과 처소나 방위를 나타내는 말로 풀이할 수 있다. 이런 이치를 참고할 때 ‘모량’은 ‘산’을 뜻하는 ‘뫼’에 처소를 나타내는 ‘에’로 분석할 수 있다. ‘모량리’가 산을 배경으로 형성된 마을이듯이, ‘모량부리’도 무등산을 끼고 형성된 마을이라는 뜻을 갖고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다. 임진 옛 이름의 ‘모화’(毛火)나 동래의 ‘모등변’(毛等邊)도 ‘묏벌’이나 ‘묏가’를 뜻하는 말이었을 가능성이 높은 까닭은 이들 땅이름이 산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기 때문이다.

사람 일이 두루 그러하듯, 소리와 뜻이 바뀌면서 먼 후일에는 무엇을 나타냈는지조차 알 수 없는 것들이 많아지는 것은 땅이름이라고 하여 다를 바가 없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5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929
3018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02
3017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26
3016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151
3015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72
3014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04
3013 겻불 風磬 2006.09.14 15927
3012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27
3011 경범죄 위반 바람의종 2010.09.29 7821
3010 경사가 가파라서 바람의종 2009.02.03 11831
3009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56
3008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460
3007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386
3006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677
300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261
3004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076
3003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21
3002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33
3001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075
3000 계기, 전기, 기회 바람의종 2010.11.16 10321
2999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5953
2998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38
2997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6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