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7:19

흘리대·흘리덕이

조회 수 9369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흘리대·흘리덕이

사람이름

예종 1년(1469년), 장사치 이길생이 왜인 ‘시난이라’를 꾀어 은 마흔 냥을 금 여덟 냥 닷 돈과 바꾸기로 계약하고 금을 받아온 뒤 은 열여덟 냥과 인삼 쉰 근만 주었다. 이에 형조에서는 이길생의 목을 치고 살림살이는 관아의 것으로 하며, 주인인 소금장이 流里大(유리대)의 살림과 이길생의 명주 400필을 거두어 왜인 시난이라한테 줄 것을 임금께 아뢰었다.

이두 책을 보면 流伊(유이)는 ‘흘리/흘니’, 流音(유음)은 ‘흘님/흘림’으로 읽는다. ‘흐르다’에서 비롯된 말이다. 流里 또한 ‘흘리’이므로 流里大(유리대)는 ‘흘리대’가 된다. 비슷한 이름의 밑말 流衣(유의)가 쓰였다. 문종실록에 流衣德(유의덕), 성종실록에 流衣萬(유의만)이라는 사람이 나온다. 良衣와 良里가 ‘A리’를 적었듯이 流衣는 ‘흘의/흘레’ 아닌 ‘흘리’를 적었던 것 같다. 위 두 사람은 ‘흘리덕이·흘리만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흐리금’도 있는데 ‘흘리’와 비슷한 ‘흐리’라는 밑말도 있었음을 에워 보여준다.

옛문서를 살피면 꾼 돈 따위를 여러 번 나눠 갚을 때 ‘흘리’(流伊) 낸다 했으며 요즘에도 흘림흘림 낸다는 말이 남아있다. 흘림/흘님은 초고(草稿)라는 뜻도 있다. ‘자하 흘님’은 한 해 동안 쓸 쌀·베·돈 따위의 예산안(장부)을 가리킨다. 이두에서 上(위 상)은 ‘자’로 읽었다. 外上(외상)은 ‘외자’라 하였으며 上下(상하)는 ‘자하’로 읽고 준다는 뜻이었다. 조선 때 글말은 한자 뜻만으로는 가늠키조차 어렵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8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52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516
26 '-적' 없애야 말 된다 (14) 종합적 바람의종 2008.03.08 12370
25 '-시키다’ 風文 2023.12.22 1162
24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268
23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880
22 믜운이 바람의종 2009.02.07 8916
21 돟습니다레! 바람의종 2008.09.27 6583
20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308
19 "차"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6 12147
18 "정한수" 떠놓고… 1 바람의종 2008.04.01 13337
17 "잘"과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8.27 23742
16 "있다, 없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7.13 12531
15 "뿐"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8.11.03 9191
14 "빠르다"와 "이르다" 바람의종 2008.04.02 9152
13 "못"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3.25 16479
12 "드리다"의 띄어쓰기 바람의종 2009.09.01 18437
11 "가지다"를 버리자 2 바람의종 2008.08.03 10003
10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9853
9 "~하에" 바람의종 2009.10.07 13167
8 "~주다"는 동사 뒤에만 온다 바람의종 2009.07.25 12385
7 "~들"의 남용 바람의종 2009.02.22 7865
6 "~대" 와 "~데" 바람의종 2008.05.13 10099
5 "-읍니다""-습니다" 바람의종 2008.05.03 860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