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7:19

흘리대·흘리덕이

조회 수 9518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흘리대·흘리덕이

사람이름

예종 1년(1469년), 장사치 이길생이 왜인 ‘시난이라’를 꾀어 은 마흔 냥을 금 여덟 냥 닷 돈과 바꾸기로 계약하고 금을 받아온 뒤 은 열여덟 냥과 인삼 쉰 근만 주었다. 이에 형조에서는 이길생의 목을 치고 살림살이는 관아의 것으로 하며, 주인인 소금장이 流里大(유리대)의 살림과 이길생의 명주 400필을 거두어 왜인 시난이라한테 줄 것을 임금께 아뢰었다.

이두 책을 보면 流伊(유이)는 ‘흘리/흘니’, 流音(유음)은 ‘흘님/흘림’으로 읽는다. ‘흐르다’에서 비롯된 말이다. 流里 또한 ‘흘리’이므로 流里大(유리대)는 ‘흘리대’가 된다. 비슷한 이름의 밑말 流衣(유의)가 쓰였다. 문종실록에 流衣德(유의덕), 성종실록에 流衣萬(유의만)이라는 사람이 나온다. 良衣와 良里가 ‘A리’를 적었듯이 流衣는 ‘흘의/흘레’ 아닌 ‘흘리’를 적었던 것 같다. 위 두 사람은 ‘흘리덕이·흘리만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흐리금’도 있는데 ‘흘리’와 비슷한 ‘흐리’라는 밑말도 있었음을 에워 보여준다.

옛문서를 살피면 꾼 돈 따위를 여러 번 나눠 갚을 때 ‘흘리’(流伊) 낸다 했으며 요즘에도 흘림흘림 낸다는 말이 남아있다. 흘림/흘님은 초고(草稿)라는 뜻도 있다. ‘자하 흘님’은 한 해 동안 쓸 쌀·베·돈 따위의 예산안(장부)을 가리킨다. 이두에서 上(위 상)은 ‘자’로 읽었다. 外上(외상)은 ‘외자’라 하였으며 上下(상하)는 ‘자하’로 읽고 준다는 뜻이었다. 조선 때 글말은 한자 뜻만으로는 가늠키조차 어렵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2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86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794
444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18
443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00
442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23
441 바람의종 2008.07.28 6340
440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00
43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57
438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63
437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93
436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36
43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47
»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518
433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33
432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47
431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54
430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41
429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72
428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48
427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65
426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500
425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611
424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90
423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3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0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