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7:19

흘리대·흘리덕이

조회 수 9696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흘리대·흘리덕이

사람이름

예종 1년(1469년), 장사치 이길생이 왜인 ‘시난이라’를 꾀어 은 마흔 냥을 금 여덟 냥 닷 돈과 바꾸기로 계약하고 금을 받아온 뒤 은 열여덟 냥과 인삼 쉰 근만 주었다. 이에 형조에서는 이길생의 목을 치고 살림살이는 관아의 것으로 하며, 주인인 소금장이 流里大(유리대)의 살림과 이길생의 명주 400필을 거두어 왜인 시난이라한테 줄 것을 임금께 아뢰었다.

이두 책을 보면 流伊(유이)는 ‘흘리/흘니’, 流音(유음)은 ‘흘님/흘림’으로 읽는다. ‘흐르다’에서 비롯된 말이다. 流里 또한 ‘흘리’이므로 流里大(유리대)는 ‘흘리대’가 된다. 비슷한 이름의 밑말 流衣(유의)가 쓰였다. 문종실록에 流衣德(유의덕), 성종실록에 流衣萬(유의만)이라는 사람이 나온다. 良衣와 良里가 ‘A리’를 적었듯이 流衣는 ‘흘의/흘레’ 아닌 ‘흘리’를 적었던 것 같다. 위 두 사람은 ‘흘리덕이·흘리만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흐리금’도 있는데 ‘흘리’와 비슷한 ‘흐리’라는 밑말도 있었음을 에워 보여준다.

옛문서를 살피면 꾼 돈 따위를 여러 번 나눠 갚을 때 ‘흘리’(流伊) 낸다 했으며 요즘에도 흘림흘림 낸다는 말이 남아있다. 흘림/흘님은 초고(草稿)라는 뜻도 있다. ‘자하 흘님’은 한 해 동안 쓸 쌀·베·돈 따위의 예산안(장부)을 가리킨다. 이두에서 上(위 상)은 ‘자’로 읽었다. 外上(외상)은 ‘외자’라 하였으며 上下(상하)는 ‘자하’로 읽고 준다는 뜻이었다. 조선 때 글말은 한자 뜻만으로는 가늠키조차 어렵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25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1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944
1918 우리 바람의종 2007.10.18 9239
1917 떠구지 file 바람의종 2010.01.06 9236
1916 오랑캐 風磬 2007.01.19 9235
1915 기침을 깇다? 바람의종 2010.03.04 9232
1914 미이라, 링겔 바람의종 2008.12.12 9230
1913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225
1912 좇다와 쫓다 바람의종 2010.02.08 9224
1911 '자처'와 '자청' 바람의종 2011.05.01 9222
1910 이제서야, 그제서야 바람의종 2009.07.08 9220
1909 호남 바람의종 2007.09.29 9219
1908 찍찍이 바람의종 2010.01.19 9218
1907 명사형 어미 바람의종 2010.03.14 9210
1906 여성상과 새말 바람의종 2007.11.04 9209
1905 꽃 피라 바람의종 2011.11.25 9209
1904 기린아 바람의종 2007.06.07 9205
1903 낸들, 나 자신, 내 자신 바람의종 2009.05.04 9198
1902 정종 바람의종 2007.10.24 9197
1901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97
1900 가마귀 바람의종 2008.12.11 9191
1899 원인, 이유 바람의종 2009.11.29 9189
1898 백성 바람의종 2007.07.09 9188
1897 패였다, 채였다 바람의종 2009.07.14 91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76 7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