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21 17:19

흘리대·흘리덕이

조회 수 9637 추천 수 1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흘리대·흘리덕이

사람이름

예종 1년(1469년), 장사치 이길생이 왜인 ‘시난이라’를 꾀어 은 마흔 냥을 금 여덟 냥 닷 돈과 바꾸기로 계약하고 금을 받아온 뒤 은 열여덟 냥과 인삼 쉰 근만 주었다. 이에 형조에서는 이길생의 목을 치고 살림살이는 관아의 것으로 하며, 주인인 소금장이 流里大(유리대)의 살림과 이길생의 명주 400필을 거두어 왜인 시난이라한테 줄 것을 임금께 아뢰었다.

이두 책을 보면 流伊(유이)는 ‘흘리/흘니’, 流音(유음)은 ‘흘님/흘림’으로 읽는다. ‘흐르다’에서 비롯된 말이다. 流里 또한 ‘흘리’이므로 流里大(유리대)는 ‘흘리대’가 된다. 비슷한 이름의 밑말 流衣(유의)가 쓰였다. 문종실록에 流衣德(유의덕), 성종실록에 流衣萬(유의만)이라는 사람이 나온다. 良衣와 良里가 ‘A리’를 적었듯이 流衣는 ‘흘의/흘레’ 아닌 ‘흘리’를 적었던 것 같다. 위 두 사람은 ‘흘리덕이·흘리만이’였던 것으로 보인다. ‘흐리금’도 있는데 ‘흘리’와 비슷한 ‘흐리’라는 밑말도 있었음을 에워 보여준다.

옛문서를 살피면 꾼 돈 따위를 여러 번 나눠 갚을 때 ‘흘리’(流伊) 낸다 했으며 요즘에도 흘림흘림 낸다는 말이 남아있다. 흘림/흘님은 초고(草稿)라는 뜻도 있다. ‘자하 흘님’은 한 해 동안 쓸 쌀·베·돈 따위의 예산안(장부)을 가리킨다. 이두에서 上(위 상)은 ‘자’로 읽었다. 外上(외상)은 ‘외자’라 하였으며 上下(상하)는 ‘자하’로 읽고 준다는 뜻이었다. 조선 때 글말은 한자 뜻만으로는 가늠키조차 어렵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018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66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1597
3018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60
3017 야단법석 바람의종 2007.12.15 6544
3016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259
3015 다슬기 바람의종 2007.12.15 8913
3014 오합지졸 바람의종 2007.12.16 10632
3013 언어도단 바람의종 2007.12.16 10359
3012 새말의 정착 바람의종 2007.12.16 7619
3011 토족말 지킴이 챙고츠 바람의종 2007.12.16 7255
3010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7.12.17 8534
3009 일사불란 바람의종 2007.12.17 8106
3008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7138
3007 가시버시 바람의종 2007.12.17 7725
3006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656
3005 전광석화 바람의종 2007.12.18 6520
3004 고구마 바람의종 2007.12.18 8948
3003 도우미 바람의종 2007.12.18 8333
3002 제왕절개 바람의종 2007.12.20 11487
3001 정정당당 바람의종 2007.12.20 8742
3000 만주말 지킴이 스쥔광 바람의종 2007.12.20 7591
2999 개구지다 바람의종 2007.12.20 8765
2998 조강지처 바람의종 2007.12.21 10476
2997 조족지혈 바람의종 2007.12.21 1260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