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9 09:01

궂긴인사

조회 수 7393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인사

북녘말

“상주님을 그대루 보여서 쓰겠소. 새루 궂긴인사하고 보입시다.”(홍명희, 림꺽정)

‘궂긴인사’는 상주를 위문하는(조문) 말이다. 이는 홍명희의 <임꺽정>에도 쓰인 말이니 굳이 북녘말이라 할 것은 없겠다. 다만 남녘에서는 ‘궂긴 인사’처럼 띄어서 쓰고, 한 낱말로 보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한 낱말로 보느냐, 두 낱말로 보느냐’는 국어사전에 올랐느냐와 관련이 있다. 국어사전은 보통 하나의 낱말을 올림말(표제어)로 삼는 까닭에 두 낱말은 실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겨레말큰사전> 새말 조사 과정을 보면, 남북 모두 같은 소설(임꺽정)을 조사했지만, 북녘에서만 ‘궂긴인사’를 새 낱말로 봤다.

궂긴인사는 ‘궂기다’와 ‘인사’가 합친 말이다. ‘궂기다’는 남북 사전에 두루 실렸지만, 남녘에서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한겨레> 신문에서는 2003년께부터 부음·부고 대신 ‘궂긴소식’을 쓰고 있다. 그 덕에 ‘궂기다’도 꽤 알려져서 쓰이고 있음을 인터넷에서도 볼 수 있다.

‘궂기다’는 ‘돌아가시다’처럼 ‘윗사람이 죽다’를 완곡하게 이르는 뜻과 ‘일에 헤살이 들어 잘 되지 않는다’는 뜻 둘로 쓰인다. 형태만 보면, ‘궂다’에 접미사 ‘-기-’가 붙어서 ‘궂기다’가 된 것으로 여길 수 있지만, 그렇게 보기도 어렵다. ‘궂다’의 뜻이 ‘나쁘다’임을 생각할 때, 관련성이 있기는 하지만 ‘궂기다’의 의미폭이 많이 좁기 때문이다. 헤살은 ‘일을 방해하는 것’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47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9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852
2864 굿 바람의종 2008.02.17 7948
2863 궁거운 생각! 바람의종 2010.05.28 9116
2862 궁시렁궁시렁 바람의종 2007.12.17 6930
2861 궁작이 바람의종 2009.05.30 6248
2860 궂기다 바람의종 2010.03.16 12205
2859 궂긴소식 바람의종 2008.04.30 8706
»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93
2857 궂은날, 궂은 날 바람의종 2010.05.28 11356
2856 권력의 용어 風文 2022.02.10 1059
2855 귀 잡수시다? 風文 2023.11.11 1247
2854 귀감 바람의종 2007.06.06 8598
2853 귀를 기울이다 / 술잔을 기우리다 바람의종 2012.08.14 32849
2852 귀성 바람의종 2009.06.11 10598
2851 귀순과 의거 관리자 2022.05.20 936
2850 귀절 / 구절 바람의종 2009.02.17 11003
2849 귀지하다 바람의종 2008.02.15 9794
2848 귀추가 주목된다 바람의종 2007.12.28 17952
2847 귀향객, 귀성객 바람의종 2012.09.26 8586
2846 귓밥을 귀후비개로 파다 바람의종 2009.04.03 10699
2845 그것을 아시요? 바람의종 2010.03.18 9177
2844 그것참 바람의종 2010.08.27 8965
2843 그녀 바람의종 2009.07.10 732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