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9 09:01

궂긴인사

조회 수 7398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궂긴인사

북녘말

“상주님을 그대루 보여서 쓰겠소. 새루 궂긴인사하고 보입시다.”(홍명희, 림꺽정)

‘궂긴인사’는 상주를 위문하는(조문) 말이다. 이는 홍명희의 <임꺽정>에도 쓰인 말이니 굳이 북녘말이라 할 것은 없겠다. 다만 남녘에서는 ‘궂긴 인사’처럼 띄어서 쓰고, 한 낱말로 보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한 낱말로 보느냐, 두 낱말로 보느냐’는 국어사전에 올랐느냐와 관련이 있다. 국어사전은 보통 하나의 낱말을 올림말(표제어)로 삼는 까닭에 두 낱말은 실리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최근 <겨레말큰사전> 새말 조사 과정을 보면, 남북 모두 같은 소설(임꺽정)을 조사했지만, 북녘에서만 ‘궂긴인사’를 새 낱말로 봤다.

궂긴인사는 ‘궂기다’와 ‘인사’가 합친 말이다. ‘궂기다’는 남북 사전에 두루 실렸지만, 남녘에서 널리 쓰이지는 않는다. <한겨레> 신문에서는 2003년께부터 부음·부고 대신 ‘궂긴소식’을 쓰고 있다. 그 덕에 ‘궂기다’도 꽤 알려져서 쓰이고 있음을 인터넷에서도 볼 수 있다.

‘궂기다’는 ‘돌아가시다’처럼 ‘윗사람이 죽다’를 완곡하게 이르는 뜻과 ‘일에 헤살이 들어 잘 되지 않는다’는 뜻 둘로 쓰인다. 형태만 보면, ‘궂다’에 접미사 ‘-기-’가 붙어서 ‘궂기다’가 된 것으로 여길 수 있지만, 그렇게 보기도 어렵다. ‘궂다’의 뜻이 ‘나쁘다’임을 생각할 때, 관련성이 있기는 하지만 ‘궂기다’의 의미폭이 많이 좁기 때문이다. 헤살은 ‘일을 방해하는 것’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864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08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052
1148 둥글레 바람의종 2008.05.10 7464
1147 당신만, 해야만 / 3년 만, 이해할 만 바람의종 2009.07.24 7462
1146 호르몬 바람의종 2009.09.27 7461
1145 불한당 바람의종 2007.07.17 7460
1144 단고기 바람의종 2008.03.20 7459
1143 염두하지 못했다 / 마침맞다 바람의종 2009.02.19 7459
1142 개안 바람의종 2007.05.30 7452
1141 부리나케 風磬 2006.12.20 7448
1140 뱃속, 배 속 바람의종 2012.05.10 7447
1139 주머니차 바람의종 2007.12.22 7442
1138 사설을 늘어놓다 바람의종 2008.01.15 7442
1137 무더위, 불볕더위 바람의종 2012.05.18 7440
1136 말씀이 계시다 바람의종 2009.07.30 7436
1135 아랍말과 히브리말 바람의종 2008.02.01 7434
1134 웃음 바람의종 2007.12.26 7428
1133 벌레 바람의종 2008.01.03 7427
1132 주먹구구 바람의종 2007.05.18 7427
1131 아수라장 바람의종 2007.12.15 7425
1130 바람의종 2008.09.19 7422
1129 바꾸다, 고치다 바람의종 2010.04.10 7421
1128 세리머니 바람의종 2008.10.07 7419
1127 도리장이·물자이 바람의종 2008.06.07 741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