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9 08:57

잔돌배기

조회 수 682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잔돌배기

땅이름

시인 구상의 ‘잡초송’만큼이나 사람이름이나 풀이름을 맛깔스럽게 담고 있는 작품을 글쓴이는 본 적이 없다. 요즘 사람들에게는 생소하게 들릴 때도 있지만, 듣기만 해도 왜 그런 이름이 붙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고, 우리말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도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것들이 많다.

땅이름에서도 그런 것들이 제법 많다. ‘잔돌배기·장승배기·언덕배기’ 따위의 이름은 어떤 사물이 그 자리에 박혀 있다는 뜻을 갖는다. 잔돌이 많으니 잔돌배기요, 장승이 서 있으니 장승배기다. 언덕진 곳을 일컬어 언덕배기라 하고, 바위가 놓여 있으니 바우배기가 된다. 이런 이치 따라 서낭당이 있으면 서낭당배기요, 돌부처가 놓여 있으면 화주배기(화주는 중생을 교화하는 이라는 뜻에서 붙은 부처의 다른 이름)다. 여기서 ‘배기’는 ‘박히다’의 히읗이 약화된 상태에서 ‘이’ 모음 치닮기가 작용한 것이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땅이름에서는 ‘이’ 치닮기가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나타난다.

이름은 사람이 필요에 따라 자의적으로 붙인 것이지만,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든 이름이 붙으면 그 이름값을 한다. “예부터 일러오기를/ 하늘이 녹 없는 사람을 내지 않고/ 땅은 이름 없는 풀을 싹틔우지 않는다/ 하지 않았는가!”라고 노래한 시인의 말처럼, 빌딩과 아스팔트로 뒤덮인 신촌 네거리에 오늘도 잔돌배기가 살아남아 민초들의 삶을 대변하는 듯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03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257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7645
2754 장녀, 외딸, 고명딸 風文 2023.12.21 972
2753 장가들다 바람의종 2007.03.22 10279
2752 장 담그셨나요? 바람의종 2008.04.14 7510
2751 잡동사니 바람의종 2007.03.22 9366
2750 잡담의 가치 風文 2021.09.03 592
2749 잠바 바람의종 2008.11.25 7507
2748 잔불 바람의종 2009.07.06 7710
2747 잔떨림 윤안젤로 2013.03.18 20667
»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22
2745 작명(作名)유감 바람의종 2008.11.12 6574
2744 작렬하다와 작열하다 바람의종 2010.03.05 11413
2743 작렬, 작열 바람의종 2008.09.18 11707
2742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00
2741 작니?, 작으니? 바람의종 2008.09.27 6610
2740 자화자찬 바람의종 2007.12.18 8592
2739 자치동갑 바람의종 2010.10.18 11063
2738 자처하다, 자청하다 바람의종 2012.12.04 26147
2737 자주꽃방망이 바람의종 2008.03.29 7859
2736 자정 바람의종 2007.08.14 7656
2735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88
2734 자잘못을 가리다 바람의종 2012.12.11 25861
2733 자일, 아이젠 바람의종 2009.05.29 749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