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9 08:57

잔돌배기

조회 수 683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잔돌배기

땅이름

시인 구상의 ‘잡초송’만큼이나 사람이름이나 풀이름을 맛깔스럽게 담고 있는 작품을 글쓴이는 본 적이 없다. 요즘 사람들에게는 생소하게 들릴 때도 있지만, 듣기만 해도 왜 그런 이름이 붙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고, 우리말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도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것들이 많다.

땅이름에서도 그런 것들이 제법 많다. ‘잔돌배기·장승배기·언덕배기’ 따위의 이름은 어떤 사물이 그 자리에 박혀 있다는 뜻을 갖는다. 잔돌이 많으니 잔돌배기요, 장승이 서 있으니 장승배기다. 언덕진 곳을 일컬어 언덕배기라 하고, 바위가 놓여 있으니 바우배기가 된다. 이런 이치 따라 서낭당이 있으면 서낭당배기요, 돌부처가 놓여 있으면 화주배기(화주는 중생을 교화하는 이라는 뜻에서 붙은 부처의 다른 이름)다. 여기서 ‘배기’는 ‘박히다’의 히읗이 약화된 상태에서 ‘이’ 모음 치닮기가 작용한 것이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땅이름에서는 ‘이’ 치닮기가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나타난다.

이름은 사람이 필요에 따라 자의적으로 붙인 것이지만,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든 이름이 붙으면 그 이름값을 한다. “예부터 일러오기를/ 하늘이 녹 없는 사람을 내지 않고/ 땅은 이름 없는 풀을 싹틔우지 않는다/ 하지 않았는가!”라고 노래한 시인의 말처럼, 빌딩과 아스팔트로 뒤덮인 신촌 네거리에 오늘도 잔돌배기가 살아남아 민초들의 삶을 대변하는 듯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33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83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757
2556 싸다 바람의종 2008.04.07 6907
2555 굴지 바람의종 2007.06.05 6911
2554 줏개 file 바람의종 2009.09.03 6914
2553 영어식 표현 바람의종 2008.10.27 6914
2552 와중 바람의종 2007.08.10 6917
2551 ‘김치’와 ‘지’ 바람의종 2007.09.22 6924
2550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0
2549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32
2548 전하 바람의종 2007.08.16 6936
2547 목적 바람의종 2007.07.03 6939
2546 드라비다말 바람의종 2008.01.02 6944
2545 니서껀 내서껀 바람의종 2008.12.27 6950
2544 벌개미취 바람의종 2008.05.05 6952
2543 액면 그대로 바람의종 2008.01.25 6955
2542 잇단, 잇달아 바람의종 2009.07.29 6956
2541 외래어란? 바람의종 2008.09.03 6957
2540 맵토이 바람의종 2008.09.24 6958
2539 십상이다 바람의종 2007.05.16 6958
2538 그닥 바람의종 2008.03.11 6959
2537 라틴말의 후예 바람의종 2008.02.03 6961
2536 원숭이 바람의종 2008.11.13 6964
2535 뒷담화 바람의종 2009.06.15 696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