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9 08:57

잔돌배기

조회 수 685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잔돌배기

땅이름

시인 구상의 ‘잡초송’만큼이나 사람이름이나 풀이름을 맛깔스럽게 담고 있는 작품을 글쓴이는 본 적이 없다. 요즘 사람들에게는 생소하게 들릴 때도 있지만, 듣기만 해도 왜 그런 이름이 붙었는지 쉽게 짐작할 수 있고, 우리말이 얼마나 아름다운지도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것들이 많다.

땅이름에서도 그런 것들이 제법 많다. ‘잔돌배기·장승배기·언덕배기’ 따위의 이름은 어떤 사물이 그 자리에 박혀 있다는 뜻을 갖는다. 잔돌이 많으니 잔돌배기요, 장승이 서 있으니 장승배기다. 언덕진 곳을 일컬어 언덕배기라 하고, 바위가 놓여 있으니 바우배기가 된다. 이런 이치 따라 서낭당이 있으면 서낭당배기요, 돌부처가 놓여 있으면 화주배기(화주는 중생을 교화하는 이라는 뜻에서 붙은 부처의 다른 이름)다. 여기서 ‘배기’는 ‘박히다’의 히읗이 약화된 상태에서 ‘이’ 모음 치닮기가 작용한 것이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땅이름에서는 ‘이’ 치닮기가 어느 지역을 막론하고 나타난다.

이름은 사람이 필요에 따라 자의적으로 붙인 것이지만, 어떤 사람이나 사물이든 이름이 붙으면 그 이름값을 한다. “예부터 일러오기를/ 하늘이 녹 없는 사람을 내지 않고/ 땅은 이름 없는 풀을 싹틔우지 않는다/ 하지 않았는가!”라고 노래한 시인의 말처럼, 빌딩과 아스팔트로 뒤덮인 신촌 네거리에 오늘도 잔돌배기가 살아남아 민초들의 삶을 대변하는 듯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94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9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861
301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83
3017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302
301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404
30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35
30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955
3013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21
301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910
3011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36
301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64
3009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35
30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154
300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14
300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16
3005 지슬 風文 2020.04.29 1484
3004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79
3003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535
300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282
3001 휘거 風文 2014.12.05 25224
3000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376
299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6018
29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314
2997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8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