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7 12:28

시거리와 시내

조회 수 625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시거리와 시내

땅이름

땅이름 연구의 필요성을 처음으로 제기한 일석 이희승은 ‘시내’의 어원이 ‘골짜기’를 뜻하는 ‘실’과 ‘내’가 합쳐진 말임을 밝혀낸 바 있다. ‘밤실’이 ‘율곡’으로, ‘돌실’이 ‘석곡’으로 맞옮김되는 것을 고려하면 땅이름에서 ‘실’의 존재는 뚜렷하다. 뿐만아니라 물가나 냇가에서 잘 자라는 수양버들을 ‘실버들’이라 하는 까닭도 ‘시내’와 마찬가지로 ‘골짜기’와 관련을 맺기 때문이다.

골짜기의 뜻을 갖는 ‘실’은 차츰 마을 이름으로 쓰인다. 특히 경상도나 충청 지역에서 많이 찾을 수 있는데, 삼국시대 ‘신라’의 어원도 이 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중부나 북부 지역에서는 이 말이 마을 이름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지 않다. 이처럼 땅이름에 쓰이는 말이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고대 국어가 형성될 당시 이질적인 언어가 합쳐졌을 가능성을 제기하는 사람도 있다. 일제강점기 일본인 학자들은 삼국시대 땅이름의 차이를 부각시키면서 삼국의 언어가 달랐음을 강조하고자 하는 경향도 있었다.

강화도 교동에는 ‘시거리’와 ‘오래시’라는 땅이름이 쓰이고 있다. 이 말은 모두 ‘실’이 변한 말로 볼 수 있다. 이들 땅이름에서 ‘실’은 다른 말의 앞과 뒤에 모두 올 수 있음을 나타낸다. 땅이름에 쓰이는 말이 지역에 따라 달리 분포할 수 있는 이유는 말의 뿌리가 다르기 때문만은 아니다. 말이 지역에 따라 달라지는 이유가 자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면, 땅이름의 차이도 살아가는 터와 관련을 맺게 될 것이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72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30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189
2050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7
2049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44
2048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90
2047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41
2046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437
2045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707
2044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777
2043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73
2042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634
»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52
2040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294
2039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54
2038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312
2037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90
2036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69
2035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98
2034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781
2033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815
2032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7094
2031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38
203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893
2029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69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