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6 05:58

고개인사

조회 수 7587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개인사

북녘말

남북에서 흔히 쓰는 ‘목례’는 남북 두루 ‘눈짓으로 하는 인사’로 풀이하고 있다. 눈짓으로 하는 인사는 어떤 행동을 가리키는 것일까? 고개를 숙이는 정도에 따라 인사를 구분해 보면, ①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고개를 살짝 움직이는 것 ②시선을 아래로 하고 머리만 숙이는 것 ③허리까지 숙이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국어사전 풀이에서 ①번이 목례라 하겠는데, 이 인사는 동급의 사람이나 아랫사람에게 할 수는 있지만 윗사람에게 하기는 곤란하다. 설령 허리를 숙여서 인사했다고 하더라도 고개를 들어 상대방을 바라보는 것은 예의 바른 인사가 아니기 때문에 윗사람에게 할 수 있는 공손한 인사 방법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목례는 ②번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이 많아서 혼잡하거나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는 윗사람이라 하더라도 ②번의 방법으로 인사를 하고, 이를 목례라 하기 때문이다.

국어사전에서 목례와 ‘눈인사’의 뜻이 같다고 보고 있는데, 그렇지 않다. ①번 인사를 목례로 본다고 하더라도 ②번 인사를 눈인사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②번 인사를 목례라고 할 수 있지만, 눈인사라고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동의어로 보기 어렵다. 고개인사는 ②번을 가리키는 북녘말이다.

한편, 북녘말 벙어리인사는 ‘인사말 없이 몸동작만으로 표시하는 인사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다. 남북이 쓰는 ‘묵례’와 뜻이 비슷하지만 ‘놀림조로 이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북녘말 ‘겉인사’는 ‘겉치레로 하는 인사’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20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573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0649
3018 ‘물멀기’와 ‘싸다’ 바람의종 2010.05.17 12892
3017 사위스럽다 바람의종 2010.11.11 12891
3016 섬뜩하다, 섬찟하다 바람의종 2010.11.11 12882
3015 되려, 되레 바람의종 2010.07.17 12881
3014 체제와 체계 바람의종 2010.09.01 12878
3013 할 일 없이 / 하릴없이 바람의종 2010.08.03 12877
3012 히로뽕 바람의종 2008.02.20 12866
3011 디귿불규칙용언 바람의종 2010.03.16 12851
3010 군불을 떼다 바람의종 2007.12.28 12847
3009 밥힘, 밥심 바람의종 2010.03.02 12842
3008 작다와 적다 바람의종 2010.07.21 12820
3007 접두사 '햇-, 숫-, 맨-' 바람의종 2012.02.01 12814
3006 12바늘을 꿰맸다 바람의종 2010.12.19 12810
3005 나즈막한 목소리 바람의종 2011.12.13 12804
3004 직업에 따른 영웅 칭호 바람의종 2010.03.16 12802
3003 퍼드레기 바람의종 2012.09.28 12786
3002 가관이다 바람의종 2007.04.28 12780
3001 맹숭맹숭, 맨송맨송 바람의종 2010.11.01 12780
3000 수능 듣기평가 바람의종 2011.11.25 12776
2999 조우, 해우, 만남 바람의종 2009.07.27 12764
2998 나들목 / 조롱목 바람의종 2011.11.10 12761
2997 아무개 바람의종 2011.01.30 127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