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6 05:58

고개인사

조회 수 7621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고개인사

북녘말

남북에서 흔히 쓰는 ‘목례’는 남북 두루 ‘눈짓으로 하는 인사’로 풀이하고 있다. 눈짓으로 하는 인사는 어떤 행동을 가리키는 것일까? 고개를 숙이는 정도에 따라 인사를 구분해 보면, ①상대방의 얼굴을 보면서 고개를 살짝 움직이는 것 ②시선을 아래로 하고 머리만 숙이는 것 ③허리까지 숙이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국어사전 풀이에서 ①번이 목례라 하겠는데, 이 인사는 동급의 사람이나 아랫사람에게 할 수는 있지만 윗사람에게 하기는 곤란하다. 설령 허리를 숙여서 인사했다고 하더라도 고개를 들어 상대방을 바라보는 것은 예의 바른 인사가 아니기 때문에 윗사람에게 할 수 있는 공손한 인사 방법이 아니다.

일반적으로 목례는 ②번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사람이 많아서 혼잡하거나 너무 멀리 떨어져 있는 상황에서는 윗사람이라 하더라도 ②번의 방법으로 인사를 하고, 이를 목례라 하기 때문이다.

국어사전에서 목례와 ‘눈인사’의 뜻이 같다고 보고 있는데, 그렇지 않다. ①번 인사를 목례로 본다고 하더라도 ②번 인사를 눈인사라고 할 수 없기 때문이다. ②번 인사를 목례라고 할 수 있지만, 눈인사라고 할 수 없다는 점에서 동의어로 보기 어렵다. 고개인사는 ②번을 가리키는 북녘말이다.

한편, 북녘말 벙어리인사는 ‘인사말 없이 몸동작만으로 표시하는 인사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이다. 남북이 쓰는 ‘묵례’와 뜻이 비슷하지만 ‘놀림조로 이른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북녘말 ‘겉인사’는 ‘겉치레로 하는 인사’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1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62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517
1236 피자집, 맥줏집 바람의종 2009.05.20 9877
1235 아스팔트와 아부라 바람의종 2010.01.22 9879
1234 상채기, 상흔, 생재기 바람의종 2008.12.18 9879
1233 파천황 바람의종 2007.09.04 9886
1232 문책과 인책 바람의종 2010.11.02 9889
1231 아저씨 바람의종 2010.05.08 9890
1230 가검물(可檢物) 바람의종 2010.05.12 9892
1229 불편부당 바람의종 2010.08.14 9894
1228 발목이 접(겹)질려 바람의종 2009.06.17 9896
1227 피난과 피란 바람의종 2008.04.24 9897
1226 전철을 밟는다 바람의종 2008.01.29 9898
1225 답습 바람의종 2007.06.24 9906
1224 '아' 다르고 '어' 다르다 바람의종 2008.04.22 9907
1223 파투 바람의종 2007.09.04 9911
1222 만무방 바람의종 2011.05.01 9915
1221 낯설음, 거칠음 바람의종 2008.10.22 9917
1220 수진이 고개 바람의종 2008.03.13 9919
1219 난(欄)과 양(量) 바람의종 2010.08.07 9920
1218 염병할 바람의종 2008.02.27 9920
1217 가능하느냐 / 가능하냐 바람의종 2012.06.01 9921
1216 모밀국수, 메밀국수, 소바 바람의종 2009.08.07 9924
1215 인용 / 원용 바람의종 2009.09.07 992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