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6 05:53

도미진 이야기

조회 수 7076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미진 이야기

땅이름

한강 상류의 팔당은 ‘바다나루’로 불렸던 곳이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한강을 이루고, 그 강변에 나루가 형성되었으니 ‘가람’(강)이 ‘바다’처럼 생각되어 붙은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문헌에서는 이 지역을 ‘도미진’이라 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광주목 동쪽 10리 양근내 대탄 용진’의 하류에 있는 나루를 ‘도미진’이라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대탄’은 ‘한여흘’로, <용비어천가>의 한강 지류를 설명한 곳에 나오는데, 남한강의 이포(배애)를 지나 양근군에 이른 나루다. 북한강 줄기는 가평의 안반여흘을 지나 양근의 선돌나루(입석진)를 거쳐 도미진에 이른다. 두 문헌에서 ‘도미진’은 남·북 한강이 만나는 지점의 나루로 설명했으므로, ‘도미진’은 팔당 근처가 된다.

<용비어천가>에서는 ‘도미진’의 다른 이름으로 ‘두미진’이 있었음도 기록했는데, 일반적으로 고구려말에서 ‘물’을 뜻하는 차자 표기가 ‘매’(買)였음을 고려한다면, ‘두미진’은 ‘두매’가 변한 말일 가능성이 높다. 곧 ‘두물’의 다른 표기인 ‘두매’나 ‘두미’가 ‘두미진’으로 바뀌어 굳어진 형태인 셈이다. 흥미로운 것은 구체적인 근거는 없으나 백제의 ‘도미 설화’도 도미진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개루왕의 핍박을 피해 도미 부부가 강물 따라 고구려로 갔다는 이야기를 상고하면, 그곳도 한강과 관련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양수리’가 있고, ‘두물머리’도 작은 마을 이름으로 쓰이는데, 이는 나루 기능이 약화되고 물길이 변한 데서 까닭을 찾을 수 있을 듯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79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197
1060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91
1059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22
1058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31
1057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44
1056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15
1055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45
1054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858
1053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27
1052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24
1051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71
1050 너무 바람의종 2008.07.16 7496
1049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74
»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76
1047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1925
1046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291
1045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19
1044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16
1043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48
1042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08
1041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00
1040 명태, 이면수/임연수 바람의종 2008.07.06 11107
1039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