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6 05:53

도미진 이야기

조회 수 7103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도미진 이야기

땅이름

한강 상류의 팔당은 ‘바다나루’로 불렸던 곳이다. 남한강과 북한강이 만나 한강을 이루고, 그 강변에 나루가 형성되었으니 ‘가람’(강)이 ‘바다’처럼 생각되어 붙은 이름임을 알 수 있다. 문헌에서는 이 지역을 ‘도미진’이라 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에는 ‘광주목 동쪽 10리 양근내 대탄 용진’의 하류에 있는 나루를 ‘도미진’이라 불렀다는 기록이 있다.

‘대탄’은 ‘한여흘’로, <용비어천가>의 한강 지류를 설명한 곳에 나오는데, 남한강의 이포(배애)를 지나 양근군에 이른 나루다. 북한강 줄기는 가평의 안반여흘을 지나 양근의 선돌나루(입석진)를 거쳐 도미진에 이른다. 두 문헌에서 ‘도미진’은 남·북 한강이 만나는 지점의 나루로 설명했으므로, ‘도미진’은 팔당 근처가 된다.

<용비어천가>에서는 ‘도미진’의 다른 이름으로 ‘두미진’이 있었음도 기록했는데, 일반적으로 고구려말에서 ‘물’을 뜻하는 차자 표기가 ‘매’(買)였음을 고려한다면, ‘두미진’은 ‘두매’가 변한 말일 가능성이 높다. 곧 ‘두물’의 다른 표기인 ‘두매’나 ‘두미’가 ‘두미진’으로 바뀌어 굳어진 형태인 셈이다. 흥미로운 것은 구체적인 근거는 없으나 백제의 ‘도미 설화’도 도미진과 관련이 있을 듯하다. 개루왕의 핍박을 피해 도미 부부가 강물 따라 고구려로 갔다는 이야기를 상고하면, 그곳도 한강과 관련될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도 ‘양수리’가 있고, ‘두물머리’도 작은 마을 이름으로 쓰이는데, 이는 나루 기능이 약화되고 물길이 변한 데서 까닭을 찾을 수 있을 듯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9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6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490
3018 사수 / 십이십이 風文 2020.05.17 1478
3017 24시 / 지지지난 風文 2020.05.16 1298
3016 선정-지정 / 얼룩빼기 황소 風文 2020.05.15 1403
3015 -분, 카울 風文 2020.05.14 1735
3014 풋 / ‘열’(10) ①, ‘열’(10) ② 風文 2020.05.10 1950
3013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721
3012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889
3011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633
3010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156
3009 아무 - 누구 風文 2020.05.05 933
3008 뒷담화 風文 2020.05.03 1154
3007 살인 진드기 風文 2020.05.02 1510
3006 배뱅잇굿 風文 2020.05.01 1115
3005 지슬 風文 2020.04.29 1483
3004 벌금 50위안 風文 2020.04.28 1470
3003 간판 문맹 風文 2014.12.30 24530
3002 레스쿨제라블, 나발질 風文 2014.12.29 24278
3001 휘거 風文 2014.12.05 25216
3000 CCTV 윤안젤로 2013.05.13 28371
2999 새 학기 단상 윤안젤로 2013.04.19 26018
2998 나, 본인, 저 윤안젤로 2013.04.03 24310
2997 목로주점을 추억하며 윤안젤로 2013.03.28 1988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