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2 03:39

생잡이·생둥이

조회 수 798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생잡이·생둥이

북녘말

앞가지 곧 접두사 ‘생-’은 여러 뜻으로 쓰인다. ‘생김치·생나물’처럼 음식물 앞에 쓰면 ‘익지 않은 것’, ‘생나무’ 등은 ‘마르지 않은 것’, ‘생가죽·생맥주’ 등은 ‘가공하지 않은 것’의 뜻이다. ‘생부·생모’ 등은 ‘직접적인 혈연관계’, ‘생고생·생트집’ 등은 ‘억지스러움’, ‘생지옥’ 등은 ‘지독한·혹독한’의 뜻이다.

국어사전에서 ‘생-’을 다양한 뜻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생-’을 ‘원래 그대로인 상태’로 보면, 여러 뜻을 아우를 수 있겠다. 음식물이 익지 않았으니 ‘생김치’, 마르지 않았으니 ‘생나무’, 가공하지 않은 상태이니 ‘생가죽’이다. ‘생부’도 ‘법적인 관계 변화와 상관없는 원래의 혈연관계’로 볼 수 있겠다.

북녘에서는 ‘생잡다·생잡이·생둥이’ 등을 쓴다. ‘생잡다’는 두 가지 뜻으로 쓰이는데, 하나는 남녘에서 ‘생트집을 잡다’의 뜻이고, 다른 하나는 ‘생판으로 처음 해 보다’의 뜻이다. “생잡는 버릇”은 앞의 뜻이고, “대패질은 생잡는 일이다”는 뒤의 뜻이다. 북녘말 ‘생잡이’는 ‘생잡다’ 두번째 뜻에서 ‘~ 사람’으로 파생된 말이다. ‘어떤 일을 처음 하게 되어 서투른 사람’을 이른다. ‘생잡이’는 남녘에서 ‘마구잡이’와 같은 말로 쓰이므로 북녘과 차이가 있다.

북녘말 ‘생둥이’는 ‘생김치’처럼 ‘음식물이 채 익지 않은 것’을 말하는데, ‘일이 손에 익지 않아서 서툰 사람’을 일컫기도 한다. 음식물이 먹기 좋게 익는 것과 일이 손에 익는 것이 다른 것 같으면서도 관련이 있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80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539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0280
3018 겸연쩍다, 멋쩍다, 맥쩍다 바람의종 2009.07.25 14492
3017 겹말을 피하자(上) 바람의종 2008.05.06 6158
3016 겹말을 피하자(下) 바람의종 2008.05.10 6208
3015 겹말을 피하자(中) 바람의종 2008.05.08 5297
3014 겻불 바람의종 2010.08.07 9153
3013 겻불 風磬 2006.09.14 16208
3012 경구 투여 바람의종 2012.01.24 9757
3011 경범죄 위반 바람의종 2010.09.29 7849
3010 경사가 가파라서 바람의종 2009.02.03 11874
3009 경위 바람의종 2010.05.12 10894
3008 경을 치다 바람의종 2007.12.27 13501
3007 경제 새말 바람의종 2008.01.04 7549
3006 경제성 바람의종 2007.10.21 9894
3005 경텃절몽구리아들 / 모이 風文 2020.05.24 1402
3004 경평 축구, 말과 동작 風文 2022.06.01 1359
3003 경품과 덤 바람의종 2009.07.13 5956
3002 곁불, 겻불 바람의종 2008.10.24 8269
3001 계간 바람의종 2007.06.02 7161
3000 계기, 전기, 기회 바람의종 2010.11.16 10345
2999 계륵 바람의종 2007.06.02 6082
2998 계좌, 구좌 바람의종 2012.09.11 9983
2997 계집과 여자, 끝 風文 2022.08.20 182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