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0 03:58

걱정과 유감

조회 수 635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걱정과 유감

언어예절

일하는 태도나 형편, 일이 되어가는 꼴을 두고 하는 말이 있다. 사람 사이란 상대적이고 복잡하여 바람 잘 날이 없고, 잠잠할 때라도 무슨 사달이 도사리기 마련이다.

걱정·우려·유감·한탄·개탄·규탄·항변·항의 … 차례에서 뒤로 갈수록 말의 세기가 더한다. 낱낱 사람이나 공인, 집단을 가리지 않고 사물을 논평하거나 견해를 밝힐 때 하는 말도 비슷하다. 나라 사이에서 주고받는 말이라고 별스레 딴말이 쓰이지는 않는다. 말무늬는 달라도 어느 족속이나 마음은 비슷하여 이 정도를 그 나라말로 뒤치면 두루 통하는 까닭이다.

여기에 “-스럽다”를 붙여 쓰면 형용사가 되는데, 보고 느끼기에 그렇다는 얘기다. 꼭 집어 말할 때는 동사를 써야 힘이 난다. “걱정이다, 우려한다, 의문이다, 안타깝다, 유감이다, 실망이다, 개탄한다, 고치라, 바로잡으라, 시정하라, 배상하라, 복구하라, 책임지라 …”

좀 점잖게 경고하는 말이 “걱정스럽다·우려한다·의문이다” 정도다. 어려움·실망이 겹치면 “유감이다·유감스럽게 생각한다”를, 앞뒤 잴 것이 없다면 “개탄·규탄한다”를, ‘항의’ 단계로 가면 즉각 바로잡고 손해·손실 배상·보상 요구를 아우른다. 최후통첩 다음엔 실력 대결이다.

이런 단계가 대충 공식화했을 뿐이지 실제로는 뛰어넘기도 하고, 저마다 생생한 표현을 쓰기도 한다. 파격 없는 판박이는 말싸움만 부를 뿐 재미도 발전도 없다. 적절한 말을 골라 써야 말값이 오르지만, 상대·대상의 형편을 제대로 살피는 것은 기본이다. 그러고도 망발·헛소리가 될 때도 있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8063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474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9596
422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33
42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75
»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50
419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25
418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92
417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55
41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39
415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739
414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822
413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80
412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24
411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118
410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35
409 무적쇠·구즉이 바람의종 2008.07.01 6756
408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603
407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179
406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51
405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45
404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332
403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52
402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58
401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8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