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0 03:56

둔지말 당두둑

조회 수 730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둔지말 당두둑

땅이름

경기도 동부나 강원 영서지방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둔지말’은 ‘언덕’과 관련이 있는 땅이름이다. 사전에는 ‘둔지’가 올라 있지 않은데, 이와 비슷한 말로 ‘둔덕’이 있다. ‘둔덕’은 ‘두두룩하게 언덕진 곳’이라고 풀이되어 있으며, ‘두두룩하다’는 ‘가운데가 솟아서 불룩하다’는 뜻이다.

<훈몽자회>의 지리 조항에는 언덕을 뜻하는 한자가 여덟 가지나 있다. 그 가운데 ‘두던’으로 풀이한 한자는 구(丘), 원(原:너른 들), 고(皐:물언덕), 부(阜:큰 뭍)이며, ‘두듥’으로 풀이한 한자는 파(坡), 판(阪:둑이나 산비탈), 릉(陵:큰 언덕), 륙(陸:높고 평평한 땅)이다. 이처럼 같은 언덕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두던’과 ‘두듥’은 토박이말이나 한자말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듥’은 경기지역의 땅이름에 많이 남아 있다. 남양주 수동면의 ‘당-두둑’은 ‘두듥’의 잔재를 뚜렷이 간직하고 있으며, 성남시 수내동 쪽 옛이름에도 ‘벌말’이나 ‘평-두들기’가 나타난다. ‘당두둑’은 ‘당두평’으로 맞옮김되며, ‘평두들기’는 ‘평촌’으로 바뀐다. 비록 ‘두던’이 ‘둔덕’으로 변하는 과정은 쉽게 설명되지 않지만, 대체로 ‘둔덕진 땅’을 ‘둔지’라고 부르는 것을 고려한다면, 두 낱말은 같은 뜻임을 알 수 있다. ‘언덕진 곳의 평평한 땅’을 ‘둔지’라 부르며, 그곳에 작은 저수지가 있을 경우에는 ‘언둔지’라 일컫는다.

사라질 듯한 ‘두듥’이나 ‘두두룩하다’는 형용사의 쓰임을 땅이름에서 찾을 수 있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50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99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940
1060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391
1059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22
1058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31
1057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44
1056 늦잔이·잠이 바람의종 2008.07.18 5013
1055 녹는줄 바람의종 2008.07.18 6145
1054 ~하므로 ~함으로 바람의종 2008.07.17 8854
1053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27
1052 개구리밥 바람의종 2008.07.17 6024
1051 조이·조시 바람의종 2008.07.17 6471
1050 너무 바람의종 2008.07.16 7495
1049 고개인사 바람의종 2008.07.16 7572
1048 도미진 이야기 바람의종 2008.07.16 7075
1047 ~던가, ~든가 바람의종 2008.07.12 11924
1046 분홍바늘꽃 바람의종 2008.07.12 6291
1045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19
1044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7916
1043 야반도주, 동병상련 바람의종 2008.07.10 8248
1042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08
»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00
1040 명태, 이면수/임연수 바람의종 2008.07.06 11107
1039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