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10 03:56

둔지말 당두둑

조회 수 7333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둔지말 당두둑

땅이름

경기도 동부나 강원 영서지방에서 흔히 찾을 수 있는 ‘둔지말’은 ‘언덕’과 관련이 있는 땅이름이다. 사전에는 ‘둔지’가 올라 있지 않은데, 이와 비슷한 말로 ‘둔덕’이 있다. ‘둔덕’은 ‘두두룩하게 언덕진 곳’이라고 풀이되어 있으며, ‘두두룩하다’는 ‘가운데가 솟아서 불룩하다’는 뜻이다.

<훈몽자회>의 지리 조항에는 언덕을 뜻하는 한자가 여덟 가지나 있다. 그 가운데 ‘두던’으로 풀이한 한자는 구(丘), 원(原:너른 들), 고(皐:물언덕), 부(阜:큰 뭍)이며, ‘두듥’으로 풀이한 한자는 파(坡), 판(阪:둑이나 산비탈), 릉(陵:큰 언덕), 륙(陸:높고 평평한 땅)이다. 이처럼 같은 언덕을 나타내는 말이지만, ‘두던’과 ‘두듥’은 토박이말이나 한자말에서 차이가 있었다.

‘두듥’은 경기지역의 땅이름에 많이 남아 있다. 남양주 수동면의 ‘당-두둑’은 ‘두듥’의 잔재를 뚜렷이 간직하고 있으며, 성남시 수내동 쪽 옛이름에도 ‘벌말’이나 ‘평-두들기’가 나타난다. ‘당두둑’은 ‘당두평’으로 맞옮김되며, ‘평두들기’는 ‘평촌’으로 바뀐다. 비록 ‘두던’이 ‘둔덕’으로 변하는 과정은 쉽게 설명되지 않지만, 대체로 ‘둔덕진 땅’을 ‘둔지’라고 부르는 것을 고려한다면, 두 낱말은 같은 뜻임을 알 수 있다. ‘언덕진 곳의 평평한 땅’을 ‘둔지’라 부르며, 그곳에 작은 저수지가 있을 경우에는 ‘언둔지’라 일컫는다.

사라질 듯한 ‘두듥’이나 ‘두두룩하다’는 형용사의 쓰임을 땅이름에서 찾을 수 있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19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74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660
422 어린노미·넙덕이 바람의종 2008.07.12 6553
42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8000
42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76
»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33
418 상사화 바람의종 2008.07.06 6693
417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64
41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45
415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746
414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832
413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98
412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28
411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126
410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43
409 무적쇠·구즉이 바람의종 2008.07.01 6757
408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609
407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187
406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65
405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50
404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362
403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60
402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71
401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8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1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