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6 21:39

두런·가라치

조회 수 7232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두런·가라치

사람이름

태조 7년(1398년), 이방번의 종 박두언(朴豆彦)이 무리를 지어 난을 일으키려는데 김성부의 종 가라치(加羅赤)가 끼었다가 이숙번에게 일러바쳤다. 이로 박두언은 목이 달아났고 가라치는 상으로 옷가지와 쌀과 콩 열 섬씩 받았다.


豆彦과 豆乙彦(두을언)이 있는데 둘 다 ‘두런’을 적는다. 두런이란 이름은 사내이름으로 널리 쓰였다. 이와 비슷한 이름에 ‘두란’이 있다. 태조에게 가까운 벗이 있는데 북청에서 태어난 야인으로 ‘이지란’이다. 숨지며 태조에게 다른 나라에 와 죽은즉, 주검을 태워 도로 고향땅에 돌려보내 그곳 풍속을 따르게 해 달라는 말을 남겼다. 이지란의 본디 이름은 ‘퉁 두란터물’이었다. 몽골말로 쌍둥이는 ‘두란’이라 적고 ‘두런’으로 소리 낸다. 표기와 표기된 내용의 이러한 모습은 중세의 사람이름에 두란과 두런이 함께 보이는 현상을 연상케 한다.

조선조에 정2품 이상 되는 벼슬아치는 중요한 공문서를 기름먹인 종이로 만든 곽에 넣고 다녔다. 이를 ‘가라치·거러치’라고 한다. ‘파일’이라는 외래어를 가라치로 바꿔 써도 좋을 듯하다. 가라치를 들고 다니는 사람(종) 또한 ‘가라치’라 불렀다. 종(隸/奴僕)은 훈몽자회에 거러치, 삼국유사에는 皆叱知(갯디)라고 했는데, 둘을 견줘 보면 같은 뜻이긴 하나 서로 이어대기 어렵다. 거지의 다른 말, ‘거러지’는 무슨 (밥)통을 들고 다니는 사람, 가라치/거러치의 비유가 얹혀 쓰이게 된 것일 수도 있다. 赤(붉을 적)은 ‘치’ 또는 ‘적’을 적으며 조선 후기까지 관습이 이어졌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52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04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987
2402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66
2401 오장이 바람의종 2008.12.28 7270
2400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74
2399 오늘은 왠지... 바람의종 2008.04.13 7274
2398 유명세를 타다 바람의종 2008.10.30 7275
2397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277
2396 바람의종 2008.08.21 7286
2395 사리원과 원효 바람의종 2008.05.13 7287
2394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288
2393 비지땀 風磬 2006.12.23 7292
2392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294
2391 내 탓이오 바람의종 2008.04.03 7303
2390 둔지말 당두둑 바람의종 2008.07.10 7304
2389 이름 부르기 바람의종 2008.04.06 7307
2388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308
2387 사이비 바람의종 2007.07.18 7309
2386 어물전 바람의종 2007.08.02 7310
2385 방조하다 바람의종 2008.03.30 7319
2384 너구리 바람의종 2008.12.07 7319
2383 명사형 바람의종 2009.04.13 7319
2382 삭부리 바람의종 2008.08.04 7321
2381 발르세요? 바람의종 2008.03.14 73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