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5 05:21

새이방우, 새미골

조회 수 6705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새이방우, 새미골

땅이름

말은 시간에 따라 변하며 공간에 따라 달라진다. 그래서 옛말과 현대말이 다르며, 지리·사회적 분화도 다양하게 이뤄진다. 말의 분화는 어휘나 문법뿐만 아니라 말소리 차이에서도 생겨난다.

‘새이방우’와 ‘새미골’은 경상방언의 말소리 체계를 반영한 땅이름이다. ‘새이방우’는 ‘송이처럼 생긴 바위’를 뜻하고, ‘새미골’은 ‘샘이 있는 마을’이다. ‘송이’가 ‘쇵이’나 ‘생이’로 발음되는 연유는 이 단어의 뒷음절 ‘이’가 앞음절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먹이다’가 ‘멕이다’로 발음되는 이치와 같다. 이렇게 변화한 ‘생이’가 ‘새이’로 바뀐 까닭은 경상방언에서 ‘이’의 기능이 점점 강화되었기 때문이다. 이는 ‘샘의 골’이 ‘새미골’로 바뀐 데서도 찾을 수 있다.

경상방언은 표준어와는 달리 ‘ㅔ·ㅐ’, ‘ㅓ·ㅡ’가 구분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겹홀소리 ‘ㅢ’를 잘 내지 못한다. ‘갈 거다’를 [갈 끼다]로, ‘먹는다’를 [묵는다]로 발음하는 현상은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쇵이’가 ‘새이’로 굳어지고, ‘샘의’가 ‘새미’로 발음되는 현상은 겹홀소리 체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본래 우리말은 ‘이’가 뒤에 합쳐지는 겹홀소리가 많았다. 그런데 오늘날은 ‘이’가 뒤에 오는 겹홀소리 가운데 ‘의’만 남아 있으므로 ‘의’는 발음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 경상도에서는 ‘의’를 ‘이’로 ‘위’를 ‘우’로 발음하는 경향이 강하다. 이처럼 땅이름은 어휘뿐만 아니라 말소리에서도 방언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17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764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2590
3040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55
3039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24
3038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48
3037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10
3036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360
3035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18
3034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595
3033 겁나게 꼬시구만! 바람의종 2010.07.09 11275
3032 겁나게 퉁겁지라! 바람의종 2010.05.11 11563
3031 게거품 風磬 2006.09.14 19464
3030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502
3029 겨우내, 가으내 바람의종 2010.03.09 10259
3028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258
3027 겨울올림픽 바람의종 2011.11.15 8812
3026 겯다 바람의종 2010.08.06 10601
3025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75
3024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65
3023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617
3022 결재, 결제 바람의종 2008.10.31 10864
3021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629
3020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29
3019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5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