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4 01:27

미치광이풀

조회 수 581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치광이풀

풀꽃이름
 




풀꽃이름이라고 해서 다 아름답고 산뜻한 것만은 아니다. ‘개비름·노루궁뎅이·소경불알·며느리밑씻개’ 등 입에 올리기 민망한 것들도 꽤 된다.

‘미치광이풀’ 또한 고약한 이름인데, 독이 있어 사람이 잘못 먹으면 미친 것처럼 눈동자가 풀리고 발작이 일어나고 정신을 잃어 그런 이름이 붙었다. 봄에 천궁으로 잘못 알고 먹었다가 병원에 실려간 일이 이따금 뉴스에 나오기도 한다. ‘노랑미치광이풀’처럼 순하게 생긴 것도 있어 당하고 마는 것이다. 또한 이 풀에 신경흥분 성분이 있어 소가 먹으면 미친 듯이 날뛰기에 붙은 이름이라는 얘기도 있다. ‘미친풀·광대작약’이라고도 하고, 북녘에서는 ‘독뿌리풀’이라고도 한다.

종 모양의 진한 자주빛 꽃을 보면 예쁜 이름이면 좋을 걸 하는 생각이 든다. 실물보다 이름이 영 못한 것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이 이름은 위험에서 우리를 보호한다. 또한 ‘예쁜 것은 독이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한다. 독은 개체를 보호하려는 방어기제다. 다 살아남고자 하는 수단이다. 독을 잘 조절해서 쓰면 오히려 약이 된다. 미치광이풀은 통증이나 경련, 종기를 낫게 하는 데 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02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9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412
2006 커브길 바람의종 2010.01.19 8395
2005 사잇길 바람의종 2010.01.18 6847
2004 ‘-빼기’가 붙는 말 바람의종 2010.01.18 8501
2003 외래어에서 무성 파열음 표기 바람의종 2010.01.18 10845
2002 북한의 국화는 목란꽃 바람의종 2010.01.18 14106
2001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53
2000 말 비틀기(1) 바람의종 2010.01.18 9732
1999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5
1998 냄비, 남비 바람의종 2010.01.15 13449
1997 파열음 바람의종 2010.01.15 10214
1996 개밥바라기 바람의종 2010.01.15 8273
1995 딤섬 바람의종 2010.01.15 8596
1994 발음상의 특징 바람의종 2010.01.15 8119
1993 응큼, 엉큼, 앙큼 바람의종 2010.01.14 14025
1992 부득이하게? ‘부득이’면 족하다 바람의종 2010.01.14 17508
1991 ‘붇다’와 ‘붓다’의 활용 바람의종 2010.01.14 11891
1990 기록은 ‘경신’,계약은 ‘갱신’ 바람의종 2010.01.14 11053
1989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81
1988 안 본 지 바람의종 2010.01.14 7543
1987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9
1986 박빙, 살얼음 바람의종 2010.01.11 10952
1985 트랜스 바람의종 2010.01.11 1115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