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4 01:27

미치광이풀

조회 수 5820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치광이풀

풀꽃이름
 




풀꽃이름이라고 해서 다 아름답고 산뜻한 것만은 아니다. ‘개비름·노루궁뎅이·소경불알·며느리밑씻개’ 등 입에 올리기 민망한 것들도 꽤 된다.

‘미치광이풀’ 또한 고약한 이름인데, 독이 있어 사람이 잘못 먹으면 미친 것처럼 눈동자가 풀리고 발작이 일어나고 정신을 잃어 그런 이름이 붙었다. 봄에 천궁으로 잘못 알고 먹었다가 병원에 실려간 일이 이따금 뉴스에 나오기도 한다. ‘노랑미치광이풀’처럼 순하게 생긴 것도 있어 당하고 마는 것이다. 또한 이 풀에 신경흥분 성분이 있어 소가 먹으면 미친 듯이 날뛰기에 붙은 이름이라는 얘기도 있다. ‘미친풀·광대작약’이라고도 하고, 북녘에서는 ‘독뿌리풀’이라고도 한다.

종 모양의 진한 자주빛 꽃을 보면 예쁜 이름이면 좋을 걸 하는 생각이 든다. 실물보다 이름이 영 못한 것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이 이름은 위험에서 우리를 보호한다. 또한 ‘예쁜 것은 독이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한다. 독은 개체를 보호하려는 방어기제다. 다 살아남고자 하는 수단이다. 독을 잘 조절해서 쓰면 오히려 약이 된다. 미치광이풀은 통증이나 경련, 종기를 낫게 하는 데 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23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73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609
2006 ~ 시키다 바람의종 2008.12.10 9406
2005 하영 먹어마씀! 바람의종 2009.09.06 9405
2004 에누리 바람의종 2010.01.06 9405
2003 어머님 전 상서 바람의종 2012.01.23 9404
2002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403
2001 -씩 바람의종 2010.01.23 9400
2000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92
1999 곤욕과 곤혹 바람의종 2010.04.30 9389
1998 외골수, 외곬으로, 투성이여서 바람의종 2009.04.30 9384
1997 숙맥 바람의종 2010.05.30 9382
1996 한터와 자갈치 바람의종 2008.03.12 9376
1995 량, 양 (量) 바람의종 2008.10.04 9370
1994 정계 / 정가 바람의종 2012.07.16 9370
1993 허롱이 바람의종 2009.05.09 9368
1992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68
1991 고백, 자백 바람의종 2010.11.03 9365
1990 접미사 ‘-짜리’ 바람의종 2010.02.09 9361
1989 단도직입 바람의종 2007.11.02 9360
1988 달개비 바람의종 2008.01.27 9359
1987 과다경쟁 바람의종 2012.05.02 9358
1986 중앙아시아 언어들 바람의종 2008.01.30 9357
1985 브로마이드(bromide) 바람의종 2008.02.13 93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