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4 01:27

미치광이풀

조회 수 5792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미치광이풀

풀꽃이름
 




풀꽃이름이라고 해서 다 아름답고 산뜻한 것만은 아니다. ‘개비름·노루궁뎅이·소경불알·며느리밑씻개’ 등 입에 올리기 민망한 것들도 꽤 된다.

‘미치광이풀’ 또한 고약한 이름인데, 독이 있어 사람이 잘못 먹으면 미친 것처럼 눈동자가 풀리고 발작이 일어나고 정신을 잃어 그런 이름이 붙었다. 봄에 천궁으로 잘못 알고 먹었다가 병원에 실려간 일이 이따금 뉴스에 나오기도 한다. ‘노랑미치광이풀’처럼 순하게 생긴 것도 있어 당하고 마는 것이다. 또한 이 풀에 신경흥분 성분이 있어 소가 먹으면 미친 듯이 날뛰기에 붙은 이름이라는 얘기도 있다. ‘미친풀·광대작약’이라고도 하고, 북녘에서는 ‘독뿌리풀’이라고도 한다.

종 모양의 진한 자주빛 꽃을 보면 예쁜 이름이면 좋을 걸 하는 생각이 든다. 실물보다 이름이 영 못한 것이 안타깝기는 하지만, 이 이름은 위험에서 우리를 보호한다. 또한 ‘예쁜 것은 독이 있다’는 사실을 다시금 확인한다. 독은 개체를 보호하려는 방어기제다. 다 살아남고자 하는 수단이다. 독을 잘 조절해서 쓰면 오히려 약이 된다. 미치광이풀은 통증이나 경련, 종기를 낫게 하는 데 쓴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16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975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4742
3040 복수 표준어 바람의종 2007.11.07 7198
3039 줄여 쓰는 말 바람의종 2007.11.07 10885
3038 사발통문 바람의종 2007.11.08 9033
3037 터키말과 튀르크어파 바람의종 2007.11.08 6583
3036 과대포장 바람의종 2007.11.08 6920
3035 사십구재 바람의종 2007.11.09 6982
3034 싸우다와 다투다 바람의종 2007.11.09 6916
3033 운율 바람의종 2007.11.09 8215
3032 훈훈하다 바람의종 2007.11.09 13439
3031 사주단자 바람의종 2007.11.10 11735
3030 몽골말과 몽골어파 바람의종 2007.11.10 9669
3029 삼척동자 바람의종 2007.12.12 6831
3028 다방구 바람의종 2007.12.12 8953
3027 우리와 저희 바람의종 2007.12.12 8476
3026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38
3025 수렴 청정 바람의종 2007.12.13 8345
3024 부추? 바람의종 2007.12.13 6254
3023 뒷담화 바람의종 2007.12.13 7168
3022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8
3021 아비규환 바람의종 2007.12.14 7385
3020 말과 나라 바람의종 2007.12.14 6764
3019 꿍치다 바람의종 2007.12.14 933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