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2 21:28

널다리와 너더리

조회 수 8107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널다리와 너더리

땅이름

충남 아산시 용화동의 옛 이름은 ‘판교리’다. 이 이름은 우리말로 ‘널다리’에 해당하는데, 널다리가 생겨나기까지 재미있는 전설이 남아 있다. 이 마을은 비가 오면 앞내가 넘쳐 아수라장이 되곤 했는데, 고을에 부임한 사또가 홍수 대책을 내놓는 사람에게 큰 상을 주기로 했다. 이 마을에 열 살 남짓한 꽃분이는 홀아버지를 모시고 살고 있었는데, 신령의 도움을 받아 개울에 널빤지로 다리를 놓으면 물난리를 피할 수 있다고 제안하여 홍수를 피하게 했다고 한다.

‘널다리’는 ‘널빤지로 만든 다리’를 뜻하며, 이로부터 ‘판교’라는 땅이름이 생성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판교’라는 땅이름이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데, 서산이나 아산뿐만 아니라 경기도 광주, 평안도 영유현에도 판교포가 있었다. ‘널빤지’의 ‘널’은 ‘너르다’에서 온 말로, ‘널빤지’는 ‘너른 판지’를 뜻한다. 판지(板紙)는 본래 종이로 만든 재료이지만 차츰 나무를 넓게 켠 것도 판지라 했다.

그런데 ‘널다리’와 비슷한 ‘너더리’라는 땅이름이 있다. ‘너더리’는 산비탈에 널리 흩어져 있는 돌밭을 가리키는 말인데, 지역에 따라 ‘너덜겅’이라 이르기도 한다. 당진군 정미면 산성리의 닭발너더리는 닭발처럼 생긴 돌무더기이며, 웽이너더리는 괭이처럼 생긴 너더리다. 이 말은 ‘널리 흐트러지다’라는 뜻을 가진 ‘너르듣다’에서 온 말인데, 자갈돌이 널리 흩어진 곳을 일컬어 ‘너더리’ 또는 ‘너덜겅’이라고 한 셈이다. 널다리와 너더리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다른 뜻을 가진 땅이름이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474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137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6287
1962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08.01.17 8802
1961 손 없는 날 바람의종 2010.07.30 9285
1960 속풀이 바람의종 2010.11.03 10453
1959 속앓이 바람의종 2009.09.26 11900
1958 속수무책 바람의종 2007.12.13 7354
1957 속도위반 딱지를 뗐다 바람의종 2009.02.12 9385
1956 속담 순화, 파격과 상식 風文 2022.06.08 1236
1955 속과 안은 다르다 / 김수업 바람의종 2007.08.31 8421
1954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23
1953 소통과 삐딱함 風文 2021.10.30 1235
1952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31
1951 소젖 바람의종 2008.01.22 6472
1950 소정 바람의종 2007.07.24 6356
1949 소와리골 바람의종 2008.05.06 7161
1948 소양강·우수주 바람의종 2008.06.08 7309
1947 소설속 고장말 바람의종 2007.11.01 9388
1946 소라색, 곤색 바람의종 2009.06.16 8204
1945 소라색 바람의종 2008.02.15 7494
1944 소담하다, 소박하다 바람의종 2012.05.03 13851
1943 소고기, 쇠고기 바람의종 2008.11.19 7237
1942 소강상태에 빠지다 바람의종 2010.05.29 10193
1941 셀프-서비스 바람의종 2009.06.09 590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