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2 21:28

널다리와 너더리

조회 수 8116 추천 수 1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널다리와 너더리

땅이름

충남 아산시 용화동의 옛 이름은 ‘판교리’다. 이 이름은 우리말로 ‘널다리’에 해당하는데, 널다리가 생겨나기까지 재미있는 전설이 남아 있다. 이 마을은 비가 오면 앞내가 넘쳐 아수라장이 되곤 했는데, 고을에 부임한 사또가 홍수 대책을 내놓는 사람에게 큰 상을 주기로 했다. 이 마을에 열 살 남짓한 꽃분이는 홀아버지를 모시고 살고 있었는데, 신령의 도움을 받아 개울에 널빤지로 다리를 놓으면 물난리를 피할 수 있다고 제안하여 홍수를 피하게 했다고 한다.

‘널다리’는 ‘널빤지로 만든 다리’를 뜻하며, 이로부터 ‘판교’라는 땅이름이 생성되었다. <동국여지승람>에는 ‘판교’라는 땅이름이 비교적 많이 나타나는데, 서산이나 아산뿐만 아니라 경기도 광주, 평안도 영유현에도 판교포가 있었다. ‘널빤지’의 ‘널’은 ‘너르다’에서 온 말로, ‘널빤지’는 ‘너른 판지’를 뜻한다. 판지(板紙)는 본래 종이로 만든 재료이지만 차츰 나무를 넓게 켠 것도 판지라 했다.

그런데 ‘널다리’와 비슷한 ‘너더리’라는 땅이름이 있다. ‘너더리’는 산비탈에 널리 흩어져 있는 돌밭을 가리키는 말인데, 지역에 따라 ‘너덜겅’이라 이르기도 한다. 당진군 정미면 산성리의 닭발너더리는 닭발처럼 생긴 돌무더기이며, 웽이너더리는 괭이처럼 생긴 너더리다. 이 말은 ‘널리 흐트러지다’라는 뜻을 가진 ‘너르듣다’에서 온 말인데, 자갈돌이 널리 흩어진 곳을 일컬어 ‘너더리’ 또는 ‘너덜겅’이라고 한 셈이다. 널다리와 너더리는 발음은 비슷하지만 다른 뜻을 가진 땅이름이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698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45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384
1984 수자리와 정지 바람의종 2008.05.23 8141
1983 고려에 넣어? 바람의종 2007.10.05 8141
1982 짝태 바람의종 2008.06.13 8142
1981 니캉 내캉! 바람의종 2008.10.24 8143
1980 치고박고 바람의종 2009.03.26 8143
1979 번갈아 바람의종 2007.05.10 8145
1978 아이구, 아이쿠, 에그머니, 아이구머니 바람의종 2009.08.05 8145
1977 무꾸리 風磬 2006.11.26 8147
1976 유도리 바람의종 2008.02.18 8148
1975 쇠발개발, 오리발, 마당발 바람의종 2008.09.09 8153
1974 각각 / 씩 바람의종 2010.02.28 8157
1973 잇달다, 잇따르다 바람의종 2008.11.14 8158
1972 따오기 바람의종 2009.05.02 8159
1971 삼복더위 바람의종 2009.03.04 8162
1970 옮김과 뒤침 바람의종 2007.12.15 8167
1969 ‘자꾸’와 ‘지퍼’ 바람의종 2008.12.18 8170
1968 금지옥엽 바람의종 2007.10.31 8170
1967 무량대수 바람의종 2008.04.16 8174
1966 길이름의 사이시옷 바람의종 2010.07.30 8180
1965 ~에게, ~와 바람의종 2010.05.28 8180
1964 나름껏, 나름대로 바람의종 2010.02.08 8181
1963 열 딸라 바람의종 2008.05.27 818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