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2 21:25

우산나물

조회 수 7352 추천 수 9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우산나물

풀꽃이름
 




물건 모양을 풀꽃 이름으로 삼은 것으로는 ‘초롱꽃·붓꽃·은방울꽃·장구채·촛대승마·톱풀·투구꽃 …’ 등 꽤 많다. 우산나물은 누구나 보자마자 그렇게 이름을 붙이고야 말 것이다. ‘우산나물’은 새순이 우산을 접어놓은 것처럼 생겼으며, 잎이 자라면 우산을 펴놓은 것처럼 보인다. 나물은 사람이 먹기 때문에 붙이는데, 봄철에 ‘애기우산나물’ 어린순을 삶아서 먹었다. 한자말로도 ‘토아산’(兎兒傘)이라 하여 새끼토끼가 쓰는 우산이라는 뜻이다.

또한 그 모양을 삿갓으로 여겨 ‘삿갓나물’이라고도 하나, 삿갓나물은 또다른 종류의 풀이름이다. 백합과인 삿갓나물은 독성이 있는데, 독은 곧 약이 되기도 하여 암을 치료하는 민간요법에 쓴다.

우산나물은 백두산부터 한라산까지 숲속 응달에서 하얀 솜우산을 펼쳐들지만, 요즘은 야생화 전시회에서 생긴 모양 덕분에 인기가 높다. ‘우산잔디’ 또한 바랭이와 마찬가지로 꽃줄기를 우산 모양으로 만들어 놀았던 데서 붙은 이름으로 짐작된다. 닌텐도에 열광하는 아이들을 보니, 아카시아 꽃잎으로 숫자를 익히고 바랭이 우산을 접었다 폈다 했던 때가 아득한 옛날로 느껴진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493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54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231
3040 웃어른/ 윗집/ 위층 風文 2024.03.26 2232
303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239
3038 금수저 흙수저 風文 2024.02.08 2242
3037 ‘엘씨디로’ / 각출-갹출 風文 2020.05.06 2249
3036 언어로 성형수술을 / 위계질서와 개인정보 風文 2020.07.09 2252
3035 ‘평어’를 쓰기로 함, 심심하다 風文 2022.11.23 2265
3034 ‘요새’와 ‘금세’ 風文 2024.02.18 2301
3033 김치 담그셨어요? 風文 2024.02.08 2309
3032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2311
3031 '사과'의 참뜻 / 사람의 짓 風文 2020.07.14 2312
3030 국방색 / 중동 風文 2020.06.24 2328
3029 수어 / 닭어리 風文 2020.07.04 2349
3028 퇴화되는 표현들 / 존댓말과 갑질 風文 2020.07.07 2354
3027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2357
3026 사라진 아빠들 / 피빛 선동 風文 2020.07.19 2384
3025 “영수증 받으실게요” 風文 2024.01.16 2385
3024 鬱陶項(울돌목) / 공짜 언어 風文 2020.07.05 2387
3023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2409
3022 포퓰리즘 / 특칭화의 문제 風文 2020.07.15 2414
3021 말의 토착화 / 국가와 교과서 風文 2020.07.20 2418
3020 ‘끄물끄물’ ‘꾸물꾸물’ 風文 2024.02.21 2423
3019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243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