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1 14:11

무적쇠·구즉이

조회 수 6711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적쇠·구즉이

사람이름

성종 15년(1484년), 한성부 금란(禁亂)의 서리와 조예가 종묘서의 종 其叱同(기질동)의 집을 뒤져 쇠가죽 두 장을 찾아냈다. 그를 묶어 가는 길목을 지키던 풍산군 심응(沈應)이 쇠가죽과 종을 낚아채어 자기 집에 숨겼다. 이 일로 풍산군이 불려가 국문을 받았다.

<동국신속삼강행실>을 보면 無其叱金(무기질금)을 ‘무적쇠’로 적고 있다. 따라서 無其叱同·無其只는 ‘무적동·무저기’를 적는 것임이 분명하다. 이름표기에 其叱金·其叱達·其叱同(기질금·기질달·기질동)은 낱낱 적쇠·적달·적동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

其叱伊(기질이)는 어찌 읽어야 할까? 이름 표기에서 叱(질)은 첫째, 받침 ‘-ㅅ’을 적는다. 갓=加叱, 굿=仇叱, 긋/긎/귿=末叱 따위. 둘째, 된소리를 적는다. 똥은 叱同/同叱/?, 뿐은 叱分/? 따위로 쓴다. 셋째, 받침 ‘-ㅈ’이 든 ‘늦’은 芿叱/?/?으로 적는다. 넷째 앞서 본 바와 같이 받침 ‘-ㄱ’을 적는다. ‘눅이’라는 이름은 訥叱伊(눌질이) 또는 訥叱只(눌질지)로 적었다. 그러므로 其叱伊는 ‘적이’를, 訥叱之는 ‘눅지’를 적는다.

이두와 구결 연구에서는 이렇게 叱의 표기가 다양하다고 밝혀진 적은 없는데, 이름 표기에서 나타난다. 只(지)는 받침 ‘-ㄱ’으로 끝나는 이름에 호칭접미사 ‘-이’가 붙을 때 ‘기’로 소리 나는 것을 적을 때 쓰인다. 가막이는 加莫只(가막지), 구즉이는 仇則只(구즉지), 국이는 國只(국지)로 적었다. 옛말 ‘구즉, 구즈기, 구즉?다’는 요즘 말로 낱낱 ‘우뚝, 우뚝하게, 우뚝하다’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685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336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8402
2050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39
2049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11
2048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576
2047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16
2046 시답잖다 風磬 2007.01.19 12325
2045 시달리다 風磬 2007.01.19 8616
2044 시다바리, 나와바리, 당일바리 바람의종 2012.03.05 17728
2043 시남이 댕게라! 바람의종 2009.12.18 7345
2042 시건 바람의종 2012.01.19 16582
2041 시거리와 시내 바람의종 2008.07.17 6227
2040 시간에 쫓기다, 차별금지법과 말 風文 2022.09.05 1065
2039 시간, 시각 바람의종 2008.11.16 6526
2038 시각과 시간 바람의종 2010.07.18 10287
2037 승패, 성패 바람의종 2008.12.26 8960
2036 승전보를 울렸다 바람의종 2010.03.15 9247
2035 승부욕 바람의종 2009.05.06 8149
2034 승락, 승낙 바람의종 2008.12.28 13712
2033 승냥이 file 바람의종 2010.01.11 10793
2032 슬하 바람의종 2007.07.28 6993
2031 슬리퍼 바람의종 2009.07.29 6924
2030 슬라이딩 도어 바람의종 2011.01.30 13847
2029 슬기와 설미 바람의종 2008.02.21 8572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