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1 14:11

무적쇠·구즉이

조회 수 6759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적쇠·구즉이

사람이름

성종 15년(1484년), 한성부 금란(禁亂)의 서리와 조예가 종묘서의 종 其叱同(기질동)의 집을 뒤져 쇠가죽 두 장을 찾아냈다. 그를 묶어 가는 길목을 지키던 풍산군 심응(沈應)이 쇠가죽과 종을 낚아채어 자기 집에 숨겼다. 이 일로 풍산군이 불려가 국문을 받았다.

<동국신속삼강행실>을 보면 無其叱金(무기질금)을 ‘무적쇠’로 적고 있다. 따라서 無其叱同·無其只는 ‘무적동·무저기’를 적는 것임이 분명하다. 이름표기에 其叱金·其叱達·其叱同(기질금·기질달·기질동)은 낱낱 적쇠·적달·적동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

其叱伊(기질이)는 어찌 읽어야 할까? 이름 표기에서 叱(질)은 첫째, 받침 ‘-ㅅ’을 적는다. 갓=加叱, 굿=仇叱, 긋/긎/귿=末叱 따위. 둘째, 된소리를 적는다. 똥은 叱同/同叱/?, 뿐은 叱分/? 따위로 쓴다. 셋째, 받침 ‘-ㅈ’이 든 ‘늦’은 芿叱/?/?으로 적는다. 넷째 앞서 본 바와 같이 받침 ‘-ㄱ’을 적는다. ‘눅이’라는 이름은 訥叱伊(눌질이) 또는 訥叱只(눌질지)로 적었다. 그러므로 其叱伊는 ‘적이’를, 訥叱之는 ‘눅지’를 적는다.

이두와 구결 연구에서는 이렇게 叱의 표기가 다양하다고 밝혀진 적은 없는데, 이름 표기에서 나타난다. 只(지)는 받침 ‘-ㄱ’으로 끝나는 이름에 호칭접미사 ‘-이’가 붙을 때 ‘기’로 소리 나는 것을 적을 때 쓰인다. 가막이는 加莫只(가막지), 구즉이는 仇則只(구즉지), 국이는 國只(국지)로 적었다. 옛말 ‘구즉, 구즈기, 구즉?다’는 요즘 말로 낱낱 ‘우뚝, 우뚝하게, 우뚝하다’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562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025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927
2424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52
2423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77
2422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908
2421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83
2420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63
2419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379
2418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54
2417 스프링클러, 랜터카 바람의종 2008.06.27 5382
2416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70
2415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204
2414 표식(?), 횡경막(?) 바람의종 2008.06.28 8961
2413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612
» 무적쇠·구즉이 바람의종 2008.07.01 6759
2411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514
2410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48
2409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132
2408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908
2407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31
2406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187
2405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935
2404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836
2403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