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1 14:11

무적쇠·구즉이

조회 수 6760 추천 수 5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무적쇠·구즉이

사람이름

성종 15년(1484년), 한성부 금란(禁亂)의 서리와 조예가 종묘서의 종 其叱同(기질동)의 집을 뒤져 쇠가죽 두 장을 찾아냈다. 그를 묶어 가는 길목을 지키던 풍산군 심응(沈應)이 쇠가죽과 종을 낚아채어 자기 집에 숨겼다. 이 일로 풍산군이 불려가 국문을 받았다.

<동국신속삼강행실>을 보면 無其叱金(무기질금)을 ‘무적쇠’로 적고 있다. 따라서 無其叱同·無其只는 ‘무적동·무저기’를 적는 것임이 분명하다. 이름표기에 其叱金·其叱達·其叱同(기질금·기질달·기질동)은 낱낱 적쇠·적달·적동으로 읽어야 할 것이다.

其叱伊(기질이)는 어찌 읽어야 할까? 이름 표기에서 叱(질)은 첫째, 받침 ‘-ㅅ’을 적는다. 갓=加叱, 굿=仇叱, 긋/긎/귿=末叱 따위. 둘째, 된소리를 적는다. 똥은 叱同/同叱/?, 뿐은 叱分/? 따위로 쓴다. 셋째, 받침 ‘-ㅈ’이 든 ‘늦’은 芿叱/?/?으로 적는다. 넷째 앞서 본 바와 같이 받침 ‘-ㄱ’을 적는다. ‘눅이’라는 이름은 訥叱伊(눌질이) 또는 訥叱只(눌질지)로 적었다. 그러므로 其叱伊는 ‘적이’를, 訥叱之는 ‘눅지’를 적는다.

이두와 구결 연구에서는 이렇게 叱의 표기가 다양하다고 밝혀진 적은 없는데, 이름 표기에서 나타난다. 只(지)는 받침 ‘-ㄱ’으로 끝나는 이름에 호칭접미사 ‘-이’가 붙을 때 ‘기’로 소리 나는 것을 적을 때 쓰인다. 가막이는 加莫只(가막지), 구즉이는 仇則只(구즉지), 국이는 國只(국지)로 적었다. 옛말 ‘구즉, 구즈기, 구즉?다’는 요즘 말로 낱낱 ‘우뚝, 우뚝하게, 우뚝하다’이다.

최범영/한국지질자원연구원 책임연구원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64785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226123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28Jan
    by 바람의종
    2010/01/28 by 바람의종
    Views 7702 

    무단시 왜 그리 쌓소!

  5. No Image 17Feb
    by 바람의종
    2009/02/17 by 바람의종
    Views 6638 

    무더위

  6. No Image 29Aug
    by 바람의종
    2009/08/29 by 바람의종
    Views 6038 

    무더위

  7. No Image 09Jul
    by 바람의종
    2010/07/09 by 바람의종
    Views 7581 

    무더위

  8. No Image 18May
    by 바람의종
    2012/05/18 by 바람의종
    Views 7493 

    무더위, 불볕더위

  9. No Image 12Feb
    by 바람의종
    2008/02/12 by 바람의종
    Views 8719 

    무데뽀

  10. No Image 29Jul
    by 바람의종
    2008/07/29 by 바람의종
    Views 6908 

    무데뽀, 나시, 기라성

  11. No Image 09May
    by 바람의종
    2007/05/09 by 바람의종
    Views 8891 

    무동태우다

  12. No Image 16Apr
    by 바람의종
    2008/04/16 by 바람의종
    Views 8174 

    무량대수

  13. No Image 27Oct
    by 바람의종
    2009/10/27 by 바람의종
    Views 8791 

    무료와 공짜

  14. No Image 01Feb
    by 바람의종
    2008/02/01 by 바람의종
    Views 9029 

    무릎노리

  15. No Image 03Jul
    by 바람의종
    2012/07/03 by 바람의종
    Views 8688 

    무색케, 도입케 / 무색게, 도입게

  16. No Image 29Sep
    by 風文
    2022/09/29 by 風文
    Views 1692 

    무술과 글쓰기, 아버지의 글쓰기

  17. No Image 01Jul
    by 바람의종
    2008/07/01 by 바람의종
    Views 6760 

    무적쇠·구즉이

  18. No Image 14Sep
    by 風文
    2021/09/14 by 風文
    Views 1044 

    무제한 발언권

  19. No Image 04Jul
    by 바람의종
    2007/07/04 by 바람의종
    Views 7475 

    무진장

  20. No Image 08Nov
    by 바람의종
    2009/11/08 by 바람의종
    Views 7558 

    무크(지)

  21. No Image 14Jul
    by 바람의종
    2009/07/14 by 바람의종
    Views 6619 

    묵어 불어

  22. No Image 12May
    by 바람의종
    2009/05/12 by 바람의종
    Views 6353 

    묵음시롱

  23. No Image 02Jul
    by 風文
    2020/07/02 by 風文
    Views 2002 

    문어발 / 징크스

  24. No Image 05Jul
    by 바람의종
    2007/07/05 by 바람의종
    Views 8852 

    문외한

  25. No Image 10Jan
    by 바람의종
    2010/01/10 by 바람의종
    Views 8281 

    문장의 앞뒤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