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7.01 14:07

애리애리

조회 수 8557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애리애리

북녘말

‘애리애리하다’는 <표준국어대사전>에 북녘말로 실렸다. 사전에 ‘북’으로 표시된 말이 모두 남녘에서 쓰이지 않는다고 할 수 있을까? 이 사전은 남녘 사전 4종과 북녘 사전 2종을 기본 자료로 했기 때문에, 북녘 사전에 실린 말이 남녘 사전에 없으면 ‘북’으로 표시했을 가능성이 높다. 사전 편찬 과정에서 말뭉치(각종 언어 자료를 파일로 모아 놓은 것)를 검토하기도 했는데 규모가 크지 않았고, 그때는 요즘처럼 인터넷이 발달하지도 않았기 때문에, 말뭉치에서도 확인이 안 되면 남녘말로 보기 어려웠을 것이다.

‘애리애리하다’는 ‘아주 여리다’, ‘애티가 나게 젊다’의 뜻으로, 북녘에서는 1981년 발행된 사전에, 남녘에서는 <토박이말 쓰임사전>(2001)에 실렸다. 예문은 박상륭의 <남도>(1969년 발표)에서 인용했다. 적어도 경상도 지역에서는 이 말을 쓰고 있고, 여러 작품과 인터넷에서도 쓰임이 확인된다. 꽤 오랫동안 쓰였으나 사전에 실리지 못한 것이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출판사에서 주로 사전을 만들다 보니 전면적인 어휘 조사를 하지 못했고, 방언 연구가 낱말의 사회적 특성을 밝히는 데 소홀했던 탓도 있다. 무엇보다도 국어사전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부족이 크다 하겠다. 사전은 꾸준한 수정과 증보 작업이 중요한데도, <표준국어대사전> 출판 이후 3년 동안 사전 관련 예산이 전혀 없었고, 최근에는 몇 명의 인원이 수정 증보판을 만들고 있다고 한다. 명실상부한 대표 사전을 만들기 위한 조사와 확인, 전면적인 수정과 증보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0258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770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757
3040 걸신들리다 바람의종 2007.12.27 12555
3039 걸씨 오갔수다 바람의종 2009.10.08 7624
3038 걸판지게 놀다 바람의종 2012.05.09 12247
3037 검불과 덤불 바람의종 2009.07.24 7707
3036 검식, 감식 바람의종 2010.03.03 7360
3035 검어솔이 바람의종 2009.05.15 7018
3034 겁나 바람의종 2009.07.31 8595
3033 겁나게 꼬시구만! 바람의종 2010.07.09 11275
3032 겁나게 퉁겁지라! 바람의종 2010.05.11 11563
3031 게거품 風磬 2006.09.14 19432
3030 게르만 말겨레 바람의종 2008.02.05 8486
3029 겨우내, 가으내 바람의종 2010.03.09 10259
3028 겨울 바람의종 2008.01.07 8251
3027 겨울올림픽 바람의종 2011.11.15 8806
3026 겯다 바람의종 2010.08.06 10601
3025 결단, 결딴 바람의종 2008.09.26 8575
3024 결단과 결딴 바람의종 2012.11.01 9157
3023 결속 바람의종 2008.03.13 7613
3022 결재, 결제 바람의종 2008.10.31 10864
3021 결제와 결재 바람의종 2010.03.26 14623
3020 결초보은 바람의종 2007.10.27 10128
3019 겸손해 하다 바람의종 2010.05.06 9355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