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5 11:26

인왕산

조회 수 5888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인왕산

땅이름

회사나 상품에 어떤 이름을 붙여야 하는지는 광고에서 매우 중요한 관심사다. 이름 붙이기에 따라 회사 인상이나 상품 경쟁력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보통 이름을 붙일 때는 ‘부르기 쉽고, 바른 뜻이 담기거나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을 조건으로 한다. 사람이름이나 땅이름을 붙일 때도 마찬가지다.

땅이름은 오랜 전통을 이어오면서 자연스럽게 생성되고 변화한 특징을 지닌다. 그런데 인위적이고 의도적으로 땅이름이 바뀌는 경우가 있다. 특히 행정상 필요에 따라 임의로 땅이름을 만들거나 이민족과의 접촉 과정에서 생성된 땅이름은 부자연스러울 경우가 많다.

인왕산(仁王山)에 들어 있는 ‘임금 王’을 ‘성할 旺’으로 바꾸어 쓴 것은 일제 강점기라고 한다. 일제는 우리나라를 강점한 뒤 대규모 토지조사 사업과 임야조사 사업을 벌이면서, 우리 조상의 얼이 담겨 있는 땅이름을 상당수 바꾸어 버렸다. 그 방식은 대체로 한자의 음은 같지만 뜻이 다른 글자로 바꾸거나 둘 이상의 땅이름에서 한 자씩을 떼어 새로운 땅이름을 만드는 형식이었는데, 그 결과 땅이름에 담긴 뜻은 사라지고 만다.

우리말 가운데 ‘남녀노소’, ‘밤낮’이라는 낱말들은 조선시대까지 ‘노소남녀’, ‘낮밤’이었다. 말 속에 ‘노소’가 ‘남녀’보다, ‘낮’이 ‘밤’보다 중시되던 사회 모습이 담겼으며, 그 말을 사용한 조상들의 정신이 담겨 있는 셈이다. 같은 인왕산일지라도 그 말에 담긴 의미를 제대로 아는 일은 뜻있는 일일 것이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5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15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15
1038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65
1037 '-로서'와 '-로써' 바람의종 2008.07.05 11417
1036 굼때다 바람의종 2008.07.05 6945
1035 새이방우, 새미골 바람의종 2008.07.05 6746
1034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2
1033 미치광이풀 바람의종 2008.07.04 5836
1032 감동·어루동 바람의종 2008.07.04 5898
1031 '이' '히' 거참 헷갈리네 바람의종 2008.07.03 7146
1030 교복물림 바람의종 2008.07.03 6828
1029 혈혈단신, 이판사판 바람의종 2008.07.02 7875
1028 널다리와 너더리 바람의종 2008.07.02 8126
1027 우산나물 바람의종 2008.07.02 7343
1026 가까와? 가까워? 바람의종 2008.07.01 7476
1025 무적쇠·구즉이 바람의종 2008.07.01 6757
1024 애리애리 바람의종 2008.07.01 8609
1023 표식(?), 횡경막(?) 바람의종 2008.06.28 8947
1022 아름다운 말 바람의종 2008.06.28 6189
1021 공목달·웅섬산 바람의종 2008.06.28 5865
1020 스프링클러, 랜터카 바람의종 2008.06.27 5382
1019 봄맞이꽃 바람의종 2008.06.27 5350
1018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362
1017 깜빠니야 바람의종 2008.06.27 666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