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4 06:26

여우오줌

조회 수 6451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우오줌

풀꽃이름
 




여우는 이제 동물원에서나 볼 수 있는 동물인데, ‘여우오줌’은 8∼9월에 피는 노란 꽃에서 여우 오줌 같은 냄새가 난다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쥐는 고양이나 여우 오줌 냄새를 천적의 냄새로 알기에 두려워한다고 하니, 쥐한테 어떤 냄새인지 물어봐야 할 판이다. 이 이름은 1489년 나온 <구급간이방언해>와 1613년 나온 <동의보감>에도 ‘여으오좀’ 등으로 나온다. 꽃줄기와 뿌리를 배앓이나 회충 따위의 치료제로 썼다는데, 여우가 사라진 것처럼 횟배앓이도 없어졌으니 이름이나 쓰임 두루 추억이 남았다.

메마른 숲에서 자라며 ‘왕담배풀’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국화과의 다른 담배풀보다 키도 크고 줄기도 굵고 잎이나 꽃도 크기 때문일 것이다.

여우가 들어간 다른 풀꽃도 있다. 빨간 구슬꼴 열매가 앙증맞아 ‘여우구슬’, 복주머니 같은 동글납작한 열매가 달려 ‘여우주머니’, 열매가 콩처럼 생겨 ‘여우콩’이라 한다. 옛날이야기 속의 여우가 그렇듯 이들의 공통점은 예쁘고 군더더기 없이 날렵하다. 그러나 앞으로는 여우를 만나기 어려워 이런 이름이 더 생기지는 않을 것 같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315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989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4559
2380 금낭화 바람의종 2008.07.18 6279
2379 바라다 / 바래다 바람의종 2008.07.18 9197
2378 잔돌배기 바람의종 2008.07.19 6873
2377 궂긴인사 바람의종 2008.07.19 7472
2376 흘리대·흘리덕이 바람의종 2008.07.21 9712
2375 개망초 바람의종 2008.07.21 5276
2374 숟가락, 젓가락 바람의종 2008.07.21 8421
2373 모량리와 모량부리 바람의종 2008.07.24 6766
2372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345
2371 햇빛, 햇볕 바람의종 2008.07.24 8707
2370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99
2369 딜위·그믐딘이 바람의종 2008.07.26 7092
2368 김치 속 / 김치 소 바람의종 2008.07.26 8199
2367 쥐오줌풀 바람의종 2008.07.28 8425
2366 바람의종 2008.07.28 6365
2365 곤혹스런 바람의종 2008.07.28 5264
2364 사룀글투 바람의종 2008.07.29 6536
2363 참 이뿌죠잉! 바람의종 2008.07.29 6243
2362 무데뽀, 나시, 기라성 바람의종 2008.07.29 6901
2361 쟈근아기 바람의종 2008.07.31 7055
2360 부처꽃 바람의종 2008.07.31 5938
2359 "가지다"를 버리자 바람의종 2008.07.31 10190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