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4 06:26

여우오줌

조회 수 640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여우오줌

풀꽃이름
 




여우는 이제 동물원에서나 볼 수 있는 동물인데, ‘여우오줌’은 8∼9월에 피는 노란 꽃에서 여우 오줌 같은 냄새가 난다는 데서 붙은 이름이다. 쥐는 고양이나 여우 오줌 냄새를 천적의 냄새로 알기에 두려워한다고 하니, 쥐한테 어떤 냄새인지 물어봐야 할 판이다. 이 이름은 1489년 나온 <구급간이방언해>와 1613년 나온 <동의보감>에도 ‘여으오좀’ 등으로 나온다. 꽃줄기와 뿌리를 배앓이나 회충 따위의 치료제로 썼다는데, 여우가 사라진 것처럼 횟배앓이도 없어졌으니 이름이나 쓰임 두루 추억이 남았다.

메마른 숲에서 자라며 ‘왕담배풀’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국화과의 다른 담배풀보다 키도 크고 줄기도 굵고 잎이나 꽃도 크기 때문일 것이다.

여우가 들어간 다른 풀꽃도 있다. 빨간 구슬꼴 열매가 앙증맞아 ‘여우구슬’, 복주머니 같은 동글납작한 열매가 달려 ‘여우주머니’, 열매가 콩처럼 생겨 ‘여우콩’이라 한다. 옛날이야기 속의 여우가 그렇듯 이들의 공통점은 예쁘고 군더더기 없이 날렵하다. 그러나 앞으로는 여우를 만나기 어려워 이런 이름이 더 생기지는 않을 것 같다.

임소영/한성대 언어교육원 책임연구원 사진 국립산림과학원 제공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77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275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268
»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08
399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13
398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12
397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79
396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48
395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49
394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15
393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74
392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29
391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386
390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52
38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16
388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863
38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395
386 옥쌀·강낭쌀 바람의종 2008.06.18 8805
385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155
38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383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37
382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15
38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60
380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793
379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