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10:02

요샛말로 …

조회 수 6080 추천 수 8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요샛말로 …

언어예절

글을 쓰면서 고전, 앞선 연구, 작품들에서 구절을 즐겨 따오는데, 권위 편승, 문자 취향, 현학 취미 …들을 보여줄 때가 많다. 출처만 제대로 댄다면, 그 솔직함에 이런 티들은 녹아든다. 고질병이긴 해도 자기 말인 것처럼 꾸미는 거짓보다는 나은 까닭이다.

짧은 낱말이나 말마디를 별스럽게 들출 때도 있다. 이때 듣기에, 옛말에, 시쳇말로, 속된말로, 요샛말로, 아니할 말로, 못할 말로, 까놓고 말해서, 이른바 …들을 끼워넣는데, 그 연유와 보람은 무엇일까?

역시 출처 밝히기의 한 방식이다. 그냥으론 밋밋해서 좀더 별스런 성금을 나타내고자 할 때 쓴다. 상대에게 한숨 고르도록 배려하면서 말을 마무리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요샛말’은 국어사전에 올랐지만 ‘요즘말’은 아직 올리지 않았다.

“그 아이는 요샛말로 그룹 회장집 아들이었다” “심려치 마시지요가 아닌 외래어인 요샛말 ‘노 프로블럼’이다” “요샛말로 ‘원천기술’만큼은 변하지 않았다” “그것만으로는 요샛말로 2%가 부족하다” “요샛말로 원조교제 냄새도 난다고 했다” “요즘말로 인재 풀을 넓혔고 교육 입국의 기초를 튼튼히 한 것이다” “요즘말로 하면 소외된 아웃사이더란 뜻이다” “요즘말로 하면 ‘아빠’ ‘엄마’라고 불렀다”(신문글들에서)

대체로 무엇을 설명하거나 화제를 들춘 뒤 이를 한마디로 뭉뚱그려 베풀 때 쓰는 것을 알 수 있다. 형식은 낱말·마디를 가리지 않고, 종류는 고유어·수치·외래어를 가리지 않는다.

요즘 얘기를 하면서 굳이 요샛말을 들출 건 없겠고, 온전히 쓰이는 말을 요샛말로 특정하는 것도 우스울 때가 있다. 신조어·유행어·익은말도 자주 쓰면 식상해진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996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6484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1493
400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13
399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13
398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12
»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80
396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48
395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49
394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17
393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74
392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32
391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386
390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52
389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21
388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866
387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00
386 옥쌀·강낭쌀 바람의종 2008.06.18 8806
385 말과 생각 바람의종 2008.06.17 6155
384 손돌과 착량 바람의종 2008.06.17 9068
383 참나리 바람의종 2008.06.16 7641
382 실구디·실구지 바람의종 2008.06.16 7815
38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460
380 단말, 쓴말 바람의종 2008.06.15 6797
379 죽전과 삿대수 바람의종 2008.06.14 815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32 133 134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