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09:53

사음동과 마름골

조회 수 7912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음동과 마름골

땅이름

<용비어천가>의 땅이름 표기 가운데 ‘마름골’은 ‘사음동’(舍音洞)과 대응된다. ‘마름’이 ‘사음’으로 바뀐 연유는 ‘차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적을 때 적용된 원리 가운데 하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이다. 이 원리는 우리말 단어의 뜻을 담고 있는 한자를 찾아 표기하고 그 다음에 우리말 단어의 음과 일치하는 한자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마음’을 표기할 때는 ‘마음 心’에 ‘소리 音’을 붙여 ‘심음’이라고 쓰고, ‘가을’을 표기할 때는 ‘가을 秋’에 ‘살필 察’(옛음은 ‘△·ㄹ’)을 붙여 쓰는 방식이다.

‘사음’의 舍’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관청’을 뜻하지만, ‘그치다’, ‘말다’의 뜻도 갖고 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을 ‘지주의 위임을 받아 소작인을 관리하던 사람’으로 풀이하고, ‘사음’과 같은 뜻의 말이라고 하였다. 이는 한자 사(舍)에 ‘마름’이란 뜻이 있었음을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자전류에는 이런 풀이가 없다. 아마도 ‘말다’의 훈을 차용한 ‘사’에 ‘소리 음’을 덧붙여 ‘마름’ 대신에 사용한 한자어가 ‘사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신기철·신용철의 <새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이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겼다고 하였는데, <용비어천가>를 고려한다면 이 말이 생성된 시점은 훨씬 오래 전이며, 이기영의 <고향>이나 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도 ‘마름’ 대신 ‘사음’을 즐겨 사용한 것을 보면, 말의 생명력이 얼마나 끈질긴지 짐작할 만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1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99
1368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8015
1367 따 놓은 당상 바람의종 2009.03.27 8007
1366 진짜 바람의종 2010.04.30 8007
1365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8005
1364 어버이 바람의종 2008.03.20 8003
1363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8002
1362 태백산과 아사달 바람의종 2008.01.21 7992
1361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89
1360 핸드폰 바람의종 2008.12.12 7983
1359 박사 바람의종 2007.07.07 7982
1358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77
1357 으시시, 부시시 바람의종 2009.07.23 7975
1356 사이드카 바람의종 2009.07.24 7971
1355 혼신을 쏟다 바람의종 2009.03.16 7968
1354 보약 다리기 바람의종 2008.09.25 7966
1353 굴착기, 굴삭기, 레미콘 바람의종 2008.10.17 7966
1352 누다와 싸다 바람의종 2007.12.23 7963
1351 ‘그러지 좀 마라’ 바람의종 2010.02.07 7962
1350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60
1349 늦깎이 바람의종 2010.10.11 7960
1348 청사진 바람의종 2007.08.24 7959
1347 백넘버, 노게임 바람의종 2011.11.13 795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