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09:53

사음동과 마름골

조회 수 7893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음동과 마름골

땅이름

<용비어천가>의 땅이름 표기 가운데 ‘마름골’은 ‘사음동’(舍音洞)과 대응된다. ‘마름’이 ‘사음’으로 바뀐 연유는 ‘차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적을 때 적용된 원리 가운데 하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이다. 이 원리는 우리말 단어의 뜻을 담고 있는 한자를 찾아 표기하고 그 다음에 우리말 단어의 음과 일치하는 한자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마음’을 표기할 때는 ‘마음 心’에 ‘소리 音’을 붙여 ‘심음’이라고 쓰고, ‘가을’을 표기할 때는 ‘가을 秋’에 ‘살필 察’(옛음은 ‘△·ㄹ’)을 붙여 쓰는 방식이다.

‘사음’의 舍’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관청’을 뜻하지만, ‘그치다’, ‘말다’의 뜻도 갖고 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을 ‘지주의 위임을 받아 소작인을 관리하던 사람’으로 풀이하고, ‘사음’과 같은 뜻의 말이라고 하였다. 이는 한자 사(舍)에 ‘마름’이란 뜻이 있었음을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자전류에는 이런 풀이가 없다. 아마도 ‘말다’의 훈을 차용한 ‘사’에 ‘소리 음’을 덧붙여 ‘마름’ 대신에 사용한 한자어가 ‘사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신기철·신용철의 <새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이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겼다고 하였는데, <용비어천가>를 고려한다면 이 말이 생성된 시점은 훨씬 오래 전이며, 이기영의 <고향>이나 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도 ‘마름’ 대신 ‘사음’을 즐겨 사용한 것을 보면, 말의 생명력이 얼마나 끈질긴지 짐작할 만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25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78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2718
1390 쪽집게, 짜깁기 바람의종 2008.10.24 8054
1389 열쇠 바람의종 2008.01.14 8052
1388 카브라 바람의종 2009.05.12 8048
1387 살피재 바람의종 2008.05.27 8047
1386 매무시 風磬 2006.11.26 8042
1385 낙점 바람의종 2007.06.09 8039
1384 선보다 바람의종 2007.05.15 8038
1383 서낭당 風磬 2006.12.29 8037
1382 플래카드 바람의종 2009.07.27 8029
1381 발바리 바람의종 2010.02.23 8029
1380 뒷간이 바람의종 2008.09.18 8028
1379 씨알머리가 없다 바람의종 2008.01.20 8025
1378 바이크 바람의종 2009.09.21 8022
1377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8013
1376 옥석구분 바람의종 2008.12.18 8013
1375 망나니 風磬 2006.11.26 8012
1374 갈가지 바람의종 2009.07.30 8010
1373 손가락방아 바람의종 2008.06.09 8005
1372 매발톱꽃 바람의종 2008.03.16 8001
1371 생잡이·생둥이 바람의종 2008.07.12 8000
1370 대체나 그렇네 잉! 바람의종 2010.01.14 7993
1369 씀바귀 바람의종 2008.02.15 798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