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09:53

사음동과 마름골

조회 수 7917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음동과 마름골

땅이름

<용비어천가>의 땅이름 표기 가운데 ‘마름골’은 ‘사음동’(舍音洞)과 대응된다. ‘마름’이 ‘사음’으로 바뀐 연유는 ‘차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적을 때 적용된 원리 가운데 하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이다. 이 원리는 우리말 단어의 뜻을 담고 있는 한자를 찾아 표기하고 그 다음에 우리말 단어의 음과 일치하는 한자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마음’을 표기할 때는 ‘마음 心’에 ‘소리 音’을 붙여 ‘심음’이라고 쓰고, ‘가을’을 표기할 때는 ‘가을 秋’에 ‘살필 察’(옛음은 ‘△·ㄹ’)을 붙여 쓰는 방식이다.

‘사음’의 舍’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관청’을 뜻하지만, ‘그치다’, ‘말다’의 뜻도 갖고 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을 ‘지주의 위임을 받아 소작인을 관리하던 사람’으로 풀이하고, ‘사음’과 같은 뜻의 말이라고 하였다. 이는 한자 사(舍)에 ‘마름’이란 뜻이 있었음을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자전류에는 이런 풀이가 없다. 아마도 ‘말다’의 훈을 차용한 ‘사’에 ‘소리 음’을 덧붙여 ‘마름’ 대신에 사용한 한자어가 ‘사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신기철·신용철의 <새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이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겼다고 하였는데, <용비어천가>를 고려한다면 이 말이 생성된 시점은 훨씬 오래 전이며, 이기영의 <고향>이나 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도 ‘마름’ 대신 ‘사음’을 즐겨 사용한 것을 보면, 말의 생명력이 얼마나 끈질긴지 짐작할 만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2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99
1016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83
1015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916
1014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85
1013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64
1012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40
1011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58
1010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97
1009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128
»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917
100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678
1006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610
1005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99
1004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149
1003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970
1002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85
1001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434
1000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699
999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500
99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229
997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7026
996 부치다 / 붙이다 바람의종 2008.06.18 10942
995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634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