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09:53

사음동과 마름골

조회 수 7880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음동과 마름골

땅이름

<용비어천가>의 땅이름 표기 가운데 ‘마름골’은 ‘사음동’(舍音洞)과 대응된다. ‘마름’이 ‘사음’으로 바뀐 연유는 ‘차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적을 때 적용된 원리 가운데 하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이다. 이 원리는 우리말 단어의 뜻을 담고 있는 한자를 찾아 표기하고 그 다음에 우리말 단어의 음과 일치하는 한자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마음’을 표기할 때는 ‘마음 心’에 ‘소리 音’을 붙여 ‘심음’이라고 쓰고, ‘가을’을 표기할 때는 ‘가을 秋’에 ‘살필 察’(옛음은 ‘△·ㄹ’)을 붙여 쓰는 방식이다.

‘사음’의 舍’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관청’을 뜻하지만, ‘그치다’, ‘말다’의 뜻도 갖고 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을 ‘지주의 위임을 받아 소작인을 관리하던 사람’으로 풀이하고, ‘사음’과 같은 뜻의 말이라고 하였다. 이는 한자 사(舍)에 ‘마름’이란 뜻이 있었음을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자전류에는 이런 풀이가 없다. 아마도 ‘말다’의 훈을 차용한 ‘사’에 ‘소리 음’을 덧붙여 ‘마름’ 대신에 사용한 한자어가 ‘사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신기철·신용철의 <새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이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겼다고 하였는데, <용비어천가>를 고려한다면 이 말이 생성된 시점은 훨씬 오래 전이며, 이기영의 <고향>이나 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도 ‘마름’ 대신 ‘사음’을 즐겨 사용한 것을 보면, 말의 생명력이 얼마나 끈질긴지 짐작할 만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730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3892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8723
1390 시덥지 않은 소리 바람의종 2010.10.30 9648
1389 시도하다 바람의종 2012.07.23 8605
1388 시들음병/시듦병 바람의종 2011.11.20 11153
1387 시라소니 file 바람의종 2010.01.09 8189
1386 시라손이 바람의종 2009.07.17 7397
1385 시말서 바람의종 2007.10.20 7300
1384 시말서, 회람 바람의종 2011.11.25 10664
1383 시보리 바람의종 2012.09.14 11980
1382 시세 조종 바람의종 2008.04.15 5497
1381 시옷불규칙활용 바람의종 2010.05.09 9477
1380 시울 바람의종 2010.02.15 6887
1379 시체,사체,송장,주검,시신 바람의종 2010.02.07 11319
1378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58
1377 시치미를 떼다 1 바람의종 2010.11.16 15479
1376 시치미를 떼다 바람의종 2008.01.18 10700
1375 시해 / 살해 바람의종 2012.03.27 10148
1374 시험, 실험 바람의종 2010.08.14 10843
1373 식욕은 당기고, 얼굴은 땅기는 風文 2024.01.04 1521
1372 식혜와 식해 바람의종 2010.05.06 9848
1371 신문과 심문 바람의종 2010.08.14 11578
1370 신물이 나다 바람의종 2008.01.18 17493
1369 신발 좀 간조롱이 놔! 바람의종 2010.01.26 9348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