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09:53

사음동과 마름골

조회 수 7899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음동과 마름골

땅이름

<용비어천가>의 땅이름 표기 가운데 ‘마름골’은 ‘사음동’(舍音洞)과 대응된다. ‘마름’이 ‘사음’으로 바뀐 연유는 ‘차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적을 때 적용된 원리 가운데 하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이다. 이 원리는 우리말 단어의 뜻을 담고 있는 한자를 찾아 표기하고 그 다음에 우리말 단어의 음과 일치하는 한자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마음’을 표기할 때는 ‘마음 心’에 ‘소리 音’을 붙여 ‘심음’이라고 쓰고, ‘가을’을 표기할 때는 ‘가을 秋’에 ‘살필 察’(옛음은 ‘△·ㄹ’)을 붙여 쓰는 방식이다.

‘사음’의 舍’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관청’을 뜻하지만, ‘그치다’, ‘말다’의 뜻도 갖고 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을 ‘지주의 위임을 받아 소작인을 관리하던 사람’으로 풀이하고, ‘사음’과 같은 뜻의 말이라고 하였다. 이는 한자 사(舍)에 ‘마름’이란 뜻이 있었음을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자전류에는 이런 풀이가 없다. 아마도 ‘말다’의 훈을 차용한 ‘사’에 ‘소리 음’을 덧붙여 ‘마름’ 대신에 사용한 한자어가 ‘사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신기철·신용철의 <새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이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겼다고 하였는데, <용비어천가>를 고려한다면 이 말이 생성된 시점은 훨씬 오래 전이며, 이기영의 <고향>이나 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도 ‘마름’ 대신 ‘사음’을 즐겨 사용한 것을 보면, 말의 생명력이 얼마나 끈질긴지 짐작할 만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1625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8208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3083
1390 한내와 가린내 바람의종 2008.04.05 9542
1389 펜치 바람의종 2009.04.03 9546
1388 % 포인트 바람의종 2012.06.11 9546
1387 디카, 필카, 셀카 바람의종 2010.02.22 9547
1386 수컷을 나타내는 접두사 ‘수-’ 바람의종 2010.05.30 9547
1385 종교 바람의종 2009.09.22 9549
1384 ‘부럽다’의 방언형 바람의종 2007.10.11 9552
1383 집중호우 -> 장대비 바람의종 2012.06.22 9552
1382 주격조사 바람의종 2010.07.21 9553
1381 강냉이 바람의종 2008.06.15 9557
1380 뫼시어라 바람의종 2010.10.04 9557
1379 디기 해깝지라! 바람의종 2010.04.25 9559
1378 구비구비, 메꾸다 바람의종 2008.11.24 9564
1377 졸립다 / 졸리다 바람의종 2009.07.08 9571
1376 깡소주 바람의종 2008.07.04 9572
1375 별나다와 뿔나다의 ‘나다’ 바람의종 2011.05.01 9575
1374 망이·망쇠 바람의종 2008.05.01 9576
1373 낱말장 바람의종 2012.06.22 9586
1372 벤치마킹 바람의종 2009.12.21 9593
1371 벽창호 바람의종 2010.01.26 9594
1370 표준어와 방언 바람의종 2010.01.06 9599
1369 노숙인과 노숙자 바람의종 2009.11.10 960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87 88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