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09:53

사음동과 마름골

조회 수 786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음동과 마름골

땅이름

<용비어천가>의 땅이름 표기 가운데 ‘마름골’은 ‘사음동’(舍音洞)과 대응된다. ‘마름’이 ‘사음’으로 바뀐 연유는 ‘차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적을 때 적용된 원리 가운데 하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이다. 이 원리는 우리말 단어의 뜻을 담고 있는 한자를 찾아 표기하고 그 다음에 우리말 단어의 음과 일치하는 한자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마음’을 표기할 때는 ‘마음 心’에 ‘소리 音’을 붙여 ‘심음’이라고 쓰고, ‘가을’을 표기할 때는 ‘가을 秋’에 ‘살필 察’(옛음은 ‘△·ㄹ’)을 붙여 쓰는 방식이다.

‘사음’의 舍’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관청’을 뜻하지만, ‘그치다’, ‘말다’의 뜻도 갖고 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을 ‘지주의 위임을 받아 소작인을 관리하던 사람’으로 풀이하고, ‘사음’과 같은 뜻의 말이라고 하였다. 이는 한자 사(舍)에 ‘마름’이란 뜻이 있었음을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자전류에는 이런 풀이가 없다. 아마도 ‘말다’의 훈을 차용한 ‘사’에 ‘소리 음’을 덧붙여 ‘마름’ 대신에 사용한 한자어가 ‘사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신기철·신용철의 <새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이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겼다고 하였는데, <용비어천가>를 고려한다면 이 말이 생성된 시점은 훨씬 오래 전이며, 이기영의 <고향>이나 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도 ‘마름’ 대신 ‘사음’을 즐겨 사용한 것을 보면, 말의 생명력이 얼마나 끈질긴지 짐작할 만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464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086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058
2094 너뿐이야, 네가 있을 뿐 바람의종 2009.07.25 7894
2093 큰 바위 바람의종 2008.02.22 7896
2092 자장면 곱빼기 바람의종 2008.05.29 7896
2091 돈가스와 닭도리탕 바람의종 2008.10.31 7897
2090 몸알리 바람의종 2010.01.14 7897
2089 재기 옵소예! 바람의종 2009.11.03 7899
2088 수다 바람의종 2012.05.03 7900
2087 영부인 바람의종 2007.08.09 7902
2086 괘씸죄 바람의종 2008.03.31 7903
2085 까탈맞다, 까탈스럽다 바람의종 2009.09.29 7906
2084 부부 금실 바람의종 2007.11.06 7907
2083 메가폰과 마이크 바람의종 2010.01.10 7910
2082 우레, 우뢰 바람의종 2009.08.02 7912
2081 그저, 거저 바람의종 2010.01.15 7914
2080 늘이다 / 늘리다 바람의종 2008.05.22 7915
2079 강쇠 바람의종 2008.10.17 7916
2078 고양이 바람의종 2008.01.12 7920
2077 어미 ‘-네’와 ‘-군’ 바람의종 2010.11.01 7920
2076 소태와 소도 바람의종 2008.03.27 7922
2075 비만인 사람, 비만이다 바람의종 2009.09.29 7924
2074 바람의종 2009.07.31 7926
2073 나그내 file 바람의종 2009.11.03 792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