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09:53

사음동과 마름골

조회 수 7876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음동과 마름골

땅이름

<용비어천가>의 땅이름 표기 가운데 ‘마름골’은 ‘사음동’(舍音洞)과 대응된다. ‘마름’이 ‘사음’으로 바뀐 연유는 ‘차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적을 때 적용된 원리 가운데 하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이다. 이 원리는 우리말 단어의 뜻을 담고 있는 한자를 찾아 표기하고 그 다음에 우리말 단어의 음과 일치하는 한자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마음’을 표기할 때는 ‘마음 心’에 ‘소리 音’을 붙여 ‘심음’이라고 쓰고, ‘가을’을 표기할 때는 ‘가을 秋’에 ‘살필 察’(옛음은 ‘△·ㄹ’)을 붙여 쓰는 방식이다.

‘사음’의 舍’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관청’을 뜻하지만, ‘그치다’, ‘말다’의 뜻도 갖고 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을 ‘지주의 위임을 받아 소작인을 관리하던 사람’으로 풀이하고, ‘사음’과 같은 뜻의 말이라고 하였다. 이는 한자 사(舍)에 ‘마름’이란 뜻이 있었음을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자전류에는 이런 풀이가 없다. 아마도 ‘말다’의 훈을 차용한 ‘사’에 ‘소리 음’을 덧붙여 ‘마름’ 대신에 사용한 한자어가 ‘사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신기철·신용철의 <새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이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겼다고 하였는데, <용비어천가>를 고려한다면 이 말이 생성된 시점은 훨씬 오래 전이며, 이기영의 <고향>이나 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도 ‘마름’ 대신 ‘사음’을 즐겨 사용한 것을 보면, 말의 생명력이 얼마나 끈질긴지 짐작할 만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58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243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7326
3062 거마비 바람의종 2007.06.01 10195
3061 거북 바람의종 2008.09.04 6722
3060 거슴츠레, 거슴푸레, 어슴푸레 바람의종 2009.05.15 9112
3059 거시기 바람의종 2011.11.14 10433
3058 거절과 거부 바람의종 2010.11.16 9037
3057 거제의 옛이름 ‘상군’(裳郡) 바람의종 2008.04.15 8676
3056 거진 다 왔소! file 바람의종 2010.01.18 9751
3055 거짓말 바람의종 2009.09.06 8253
3054 거짓말, 말, 아닌 글자 風文 2022.09.19 1113
3053 거짓말과 개소리, 혼잣말의 비밀 風文 2022.11.30 1364
3052 거치다와 걸치다 바람의종 2010.03.23 15166
3051 거치장스럽다 바람의종 2012.05.16 8076
3050 걱정과 유감 바람의종 2008.07.10 6337
3049 건강한 가족 / 국경일 한글날 風文 2020.07.18 2163
3048 건넛방, 건넌방 바람의종 2011.12.22 10766
3047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93
3046 건달 바람의종 2007.06.01 8645
3045 건더기, 건데기 바람의종 2012.11.05 11571
3044 걷잡아 / 겉잡아 바람의종 2010.03.19 12215
3043 걸리적거리다 바람의종 2010.08.15 9707
3042 걸맞는? 걸맞은? 바람의종 2009.12.18 9584
3041 걸맞은, 알맞은 바람의종 2008.04.07 9041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