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3 09:53

사음동과 마름골

조회 수 7825 추천 수 6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사음동과 마름골

땅이름

<용비어천가>의 땅이름 표기 가운데 ‘마름골’은 ‘사음동’(舍音洞)과 대응된다. ‘마름’이 ‘사음’으로 바뀐 연유는 ‘차자 표기’ 원리를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자를 빌려 우리말 단어를 적을 때 적용된 원리 가운데 하나는 ‘훈주음종’(訓主音從)이다. 이 원리는 우리말 단어의 뜻을 담고 있는 한자를 찾아 표기하고 그 다음에 우리말 단어의 음과 일치하는 한자를 덧붙여 표기하는 방식을 말하는데, 예를 들어 ‘마음’을 표기할 때는 ‘마음 心’에 ‘소리 音’을 붙여 ‘심음’이라고 쓰고, ‘가을’을 표기할 때는 ‘가을 秋’에 ‘살필 察’(옛음은 ‘△·ㄹ’)을 붙여 쓰는 방식이다.

‘사음’의 舍’는 일반적으로 ‘집’이나 ‘관청’을 뜻하지만, ‘그치다’, ‘말다’의 뜻도 갖고 있다.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을 ‘지주의 위임을 받아 소작인을 관리하던 사람’으로 풀이하고, ‘사음’과 같은 뜻의 말이라고 하였다. 이는 한자 사(舍)에 ‘마름’이란 뜻이 있었음을 의미하는데, 대부분의 자전류에는 이런 풀이가 없다. 아마도 ‘말다’의 훈을 차용한 ‘사’에 ‘소리 음’을 덧붙여 ‘마름’ 대신에 사용한 한자어가 ‘사음’이었기 때문일 것이다. 신기철·신용철의 <새우리말큰사전>에서는 ‘마름’이 조선 중기 이후에 생겼다고 하였는데, <용비어천가>를 고려한다면 이 말이 생성된 시점은 훨씬 오래 전이며, 이기영의 <고향>이나 문순태의 <타오르는 강>에서도 ‘마름’ 대신 ‘사음’을 즐겨 사용한 것을 보면, 말의 생명력이 얼마나 끈질긴지 짐작할 만하다.

허재영/단국대 인재개발원 교수

 


  1. No Image notice by 바람의종 2006/09/16 by 바람의종
    Views 37539 

    ∥…………………………………………………………………… 목록

  2.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3. No Image notice by 風磬 2006/09/09 by 風磬
    Views 199030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4. No Image 12Jun
    by 바람의종
    2008/06/12 by 바람의종
    Views 8190 

    좋게 말하기

  5. No Image 13Jun
    by 바람의종
    2008/06/13 by 바람의종
    Views 7997 

    짝태

  6. No Image 13Jun
    by 바람의종
    2008/06/13 by 바람의종
    Views 8393 

    망오지·강아지

  7. 꽝꽝나무

  8. No Image 14Jun
    by 바람의종
    2008/06/14 by 바람의종
    Views 8105 

    죽전과 삿대수

  9. No Image 15Jun
    by 바람의종
    2008/06/15 by 바람의종
    Views 6751 

    단말, 쓴말

  10. No Image 15Jun
    by 바람의종
    2008/06/15 by 바람의종
    Views 9397 

    강냉이

  11. No Image 16Jun
    by 바람의종
    2008/06/16 by 바람의종
    Views 7785 

    실구디·실구지

  12. 참나리

  13. No Image 17Jun
    by 바람의종
    2008/06/17 by 바람의종
    Views 9030 

    손돌과 착량

  14. No Image 17Jun
    by 바람의종
    2008/06/17 by 바람의종
    Views 6119 

    말과 생각

  15. No Image 18Jun
    by 바람의종
    2008/06/18 by 바람의종
    Views 8759 

    옥쌀·강낭쌀

  16. 간디·무작쇠

  17. No Image 19Jun
    by 바람의종
    2008/06/19 by 바람의종
    Views 6757 

    ‘앗다’ 쓰임

  18. 가마즁이·언년이

  19. 꿩의바람꽃

  20. No Image 21Jun
    by 바람의종
    2008/06/21 by 바람의종
    Views 9350 

    오음산과 오름

  21. No Image 21Jun
    by 바람의종
    2008/06/21 by 바람의종
    Views 7162 

    발칙과 점잔

  22. No Image 22Jun
    by 바람의종
    2008/06/22 by 바람의종
    Views 6036 

    다락밭

  23. 논이·노리개

  24. 쥐꼬리망초

  25. No Image 23Jun
    by 바람의종
    2008/06/23 by 바람의종
    Views 7825 

    사음동과 마름골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