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1 03:56

발칙과 점잔

조회 수 7254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칙과 점잔

언어예절

버릇과 예의는 한가지다. 몸과 마음에 익으면 절로 우러난다.

발칙함이란 버릇없는 언행으로 괘씸한 느낌을 줄 때, 나아가 상식이나 격식을 뒤집는 기발한 말이나 행동을 두고 일컫는다. 대상은 주로 어린아이나 젊은층이다. 우리말이 서투른 외국인의 말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본디 그런 행동을 한 사람을 나무랄 때 썼으나 요즘은 이를 부추기기도 한다. 상식·격식도 터무니없거나 굳어서 쓸모가 없을 때가 있으므로 이를 뒤집고 깨뜨리는 맛이 있어서다. 예술·과학 쪽에서는 이로써 새로운 경지를 열기도 한다. 이웃하는 말로 되바라지다, 시건방지다, 주제넘다, 빤빤하다, 느닷없다, 버르장머리없다, 본데없다 …들이 있다.

계급·신분이 허물어지면서 분수를 지키라는 말도 듣기 어렵게 됐지만, 자유로운 만큼 책임·의무는 더 무겁고, 저마다 푼수가 다른 점은 엄연하다. 이에서 벗어나거나 어울리지 않는 언행은 여전히 거북한 느낌을 준다. 그 결과는 짜증, 괘씸, 웃음 … 따위로 드러난다.

뒤집고 튀는 생각도 갈피를 잡으면서 잘 다스려 말하면 ‘점잔’으로 이어지고 말에 힘이 생긴다. ‘점잔하다’와 이웃한 말로는 얌전하다·음전하다·듬직하다·의젓하다 …들이 있다.

‘잠잖다·점잖다’는 사람됨이 고상하며 의젓하다는 뜻으로 쓰인다. 거짓되고 꾸민 것이 아닌 한 이를 함부로 허물 일도 아니고 깨뜨리기도 어렵다. 점잖잖고 속되고 무잡한 것을 이기는 것은 너그러움과 부드러움이다. ‘젊잖다’는 ‘젊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쓸 수는 있겠으나 ‘점잖다’를 쓸 자리에 쓴다면 잘못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3947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00529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5520
1016 시쳇말로 … 바람의종 2008.06.25 9939
1015 인왕산 바람의종 2008.06.25 5869
1014 저희 나라 바람의종 2008.06.24 8868
1013 여우오줌 바람의종 2008.06.24 6433
1012 멍귀·귿환·머흘쇠 바람의종 2008.06.24 6122
1011 말째다 바람의종 2008.06.24 5937
1010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下) 바람의종 2008.06.23 6005
1009 요샛말로 … 바람의종 2008.06.23 6098
1008 사음동과 마름골 바람의종 2008.06.23 7866
1007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中) 바람의종 2008.06.22 5568
1006 쥐꼬리망초 바람의종 2008.06.22 6572
1005 논이·노리개 바람의종 2008.06.22 4831
1004 다락밭 바람의종 2008.06.22 6095
1003 '여부' 의 사용을 줄이자(上) 바람의종 2008.06.21 6878
»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54
1001 오음산과 오름 바람의종 2008.06.21 9407
1000 한자성어(1) 바람의종 2008.06.19 7577
999 꿩의바람꽃 바람의종 2008.06.19 6460
998 가마즁이·언년이 바람의종 2008.06.19 7076
997 ‘앗다’ 쓰임 바람의종 2008.06.19 6923
996 부치다 / 붙이다 바람의종 2008.06.18 10925
995 간디·무작쇠 바람의종 2008.06.18 648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