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1 03:56

발칙과 점잔

조회 수 7225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칙과 점잔

언어예절

버릇과 예의는 한가지다. 몸과 마음에 익으면 절로 우러난다.

발칙함이란 버릇없는 언행으로 괘씸한 느낌을 줄 때, 나아가 상식이나 격식을 뒤집는 기발한 말이나 행동을 두고 일컫는다. 대상은 주로 어린아이나 젊은층이다. 우리말이 서투른 외국인의 말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본디 그런 행동을 한 사람을 나무랄 때 썼으나 요즘은 이를 부추기기도 한다. 상식·격식도 터무니없거나 굳어서 쓸모가 없을 때가 있으므로 이를 뒤집고 깨뜨리는 맛이 있어서다. 예술·과학 쪽에서는 이로써 새로운 경지를 열기도 한다. 이웃하는 말로 되바라지다, 시건방지다, 주제넘다, 빤빤하다, 느닷없다, 버르장머리없다, 본데없다 …들이 있다.

계급·신분이 허물어지면서 분수를 지키라는 말도 듣기 어렵게 됐지만, 자유로운 만큼 책임·의무는 더 무겁고, 저마다 푼수가 다른 점은 엄연하다. 이에서 벗어나거나 어울리지 않는 언행은 여전히 거북한 느낌을 준다. 그 결과는 짜증, 괘씸, 웃음 … 따위로 드러난다.

뒤집고 튀는 생각도 갈피를 잡으면서 잘 다스려 말하면 ‘점잔’으로 이어지고 말에 힘이 생긴다. ‘점잔하다’와 이웃한 말로는 얌전하다·음전하다·듬직하다·의젓하다 …들이 있다.

‘잠잖다·점잖다’는 사람됨이 고상하며 의젓하다는 뜻으로 쓰인다. 거짓되고 꾸민 것이 아닌 한 이를 함부로 허물 일도 아니고 깨뜨리기도 어렵다. 점잖잖고 속되고 무잡한 것을 이기는 것은 너그러움과 부드러움이다. ‘젊잖다’는 ‘젊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쓸 수는 있겠으나 ‘점잖다’를 쓸 자리에 쓴다면 잘못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47699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4207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9144
1038 건달 바람의종 2010.02.06 7266
1037 와인 바람의종 2009.07.12 7264
1036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63
1035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61
1034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54
1033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50
1032 한글과 우리말 바람의종 2008.02.19 7243
1031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2
1030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40
1029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28
»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25
1027 바람의종 2008.11.01 7225
1026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24
1025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24
1024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224
1023 메다와 지다 바람의종 2008.03.06 7216
1022 제트(Z) 바람의종 2009.09.07 7214
1021 머슴날 바람의종 2009.08.02 7213
1020 바캉스, 다이어트 바람의종 2008.08.04 7213
1019 개보름 바람의종 2007.12.29 7212
1018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07
1017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0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