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1 03:56

발칙과 점잔

조회 수 7238 추천 수 4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발칙과 점잔

언어예절

버릇과 예의는 한가지다. 몸과 마음에 익으면 절로 우러난다.

발칙함이란 버릇없는 언행으로 괘씸한 느낌을 줄 때, 나아가 상식이나 격식을 뒤집는 기발한 말이나 행동을 두고 일컫는다. 대상은 주로 어린아이나 젊은층이다. 우리말이 서투른 외국인의 말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을 때가 있다. 본디 그런 행동을 한 사람을 나무랄 때 썼으나 요즘은 이를 부추기기도 한다. 상식·격식도 터무니없거나 굳어서 쓸모가 없을 때가 있으므로 이를 뒤집고 깨뜨리는 맛이 있어서다. 예술·과학 쪽에서는 이로써 새로운 경지를 열기도 한다. 이웃하는 말로 되바라지다, 시건방지다, 주제넘다, 빤빤하다, 느닷없다, 버르장머리없다, 본데없다 …들이 있다.

계급·신분이 허물어지면서 분수를 지키라는 말도 듣기 어렵게 됐지만, 자유로운 만큼 책임·의무는 더 무겁고, 저마다 푼수가 다른 점은 엄연하다. 이에서 벗어나거나 어울리지 않는 언행은 여전히 거북한 느낌을 준다. 그 결과는 짜증, 괘씸, 웃음 … 따위로 드러난다.

뒤집고 튀는 생각도 갈피를 잡으면서 잘 다스려 말하면 ‘점잔’으로 이어지고 말에 힘이 생긴다. ‘점잔하다’와 이웃한 말로는 얌전하다·음전하다·듬직하다·의젓하다 …들이 있다.

‘잠잖다·점잖다’는 사람됨이 고상하며 의젓하다는 뜻으로 쓰인다. 거짓되고 꾸민 것이 아닌 한 이를 함부로 허물 일도 아니고 깨뜨리기도 어렵다. 점잖잖고 속되고 무잡한 것을 이기는 것은 너그러움과 부드러움이다. ‘젊잖다’는 ‘젊지 아니하다’는 뜻으로 쓸 수는 있겠으나 ‘점잖다’를 쓸 자리에 쓴다면 잘못이다.

최인호/한겨레말글연구소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51671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98183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13160
2424 각시취 바람의종 2008.04.29 7232
2423 두런·가라치 바람의종 2008.07.06 7232
2422 난친이 바위 바람의종 2008.02.24 7234
2421 사이시옷 적기 바람의종 2010.01.08 7235
2420 바람의종 2008.11.01 7236
» 발칙과 점잔 바람의종 2008.06.21 7238
2418 번역 투 문장 바람의종 2010.01.10 7243
2417 良衣·거리쇠 바람의종 2008.06.27 7246
2416 수수방관 바람의종 2007.12.14 7246
2415 인사말 바람의종 2008.04.17 7247
2414 사룀 바람의종 2008.07.24 7251
2413 닭알 바람의종 2008.07.26 7254
2412 언어 대국, 인도 바람의종 2007.12.24 7255
2411 ~에 대한 바람의종 2008.03.11 7255
2410 벽과 담 윤영환 2011.11.28 7256
2409 안겨오다 바람의종 2008.04.06 7258
2408 뫼와 갓 바람의종 2008.01.02 7263
2407 사라져가는 언어(2) 바람의종 2007.10.31 7264
2406 와인 바람의종 2009.07.12 7265
2405 구미와 곶 바람의종 2008.03.25 7266
2404 오시소마! 바람의종 2008.08.11 7266
2403 원-달러 바람의종 2009.03.08 726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 157 Next
/ 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