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21 03:54

오음산과 오름

조회 수 9357 추천 수 1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오음산과 오름

땅이름

조선 효종 4년 제주 목사 이원진이 편찬한 것으로 알려진 <탐라지>에는 제주 고장말에 관한 흥미로운 기록이 들어 있다. “촌민의 사투리가 난삽하여 말의 시작은 높고 끝은 낮은데, 김정의 <풍토록>에서는 토착민의 말소리가 가늘고 높아 바늘로 찌르는 것 같고 또한 이해하기 어려운 것들이 많다고 하였다”라고 기록했다. 또한 촌민의 말 가운데 특이한 음이 많은데, 그 가운데 산을 ‘올음’(兀音)이라고 한다는 기록도 있다.

사람들은 제주 고장말이 뭍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으며, 때로는 의사 소통에 어려움을 겪을 정도라고 여기기도 한다. <탐라지> 기록뿐만 아니라 오늘날의 말소리·어휘·문법에서 제주말은 뭍과는 꽤 차이가 있다.

그러나 산을 뜻하는 ‘오름’이 제주에만 있다고 단정할 수는 없다. 왜냐하면 전국 각지에 ‘오음’이라는 산이름이 많기 때문이다. 간성의 ‘오음산’(五音山)이나 갑산의 ‘오음회령’(吾音會嶺)은 <여지승람>에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와 유사한 ‘오을동’(五乙洞) 같은 것도 적잖다.

‘오름’은 ‘오르다’에서 나온 말로, 한자어로 맞옮길 때는 ‘악’(岳)으로 대체된다. ‘성널오름’이 ‘성판악’으로, ‘거문오름’이 ‘거문악’으로 바뀌는 식이다. 그런데 함경도나 강원도 쪽에서는 ‘오을음’이나 ‘오음’의 형태를 취할 뿐 아니라 ‘다섯 오’[五]나 ‘나 오’[吾]가 쓰여 ‘오름’과 무관한 말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런 ‘오음’도 그 지역에서 높이 솟아오른 산에 붙은 이름으로서 ‘오름’과 같은 계통이라 하겠다.

허재영/건국대 강의교수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38646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1852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00102
3058 -분, 카울 風文 2020.05.14 1453
3057 美國 - 米國 / 3M 風文 2020.06.08 1459
3056 위탁모, 땅거미 風文 2020.05.07 1467
3055 헤로인 / 슈퍼세이브 風文 2020.06.03 1468
3054 한글박물관 / 월식 風文 2020.06.09 1470
3053 맞춤법·표준어 제정, 국가 독점?…오늘도 ‘손사래’ 風文 2022.12.12 1479
3052 국어 영역 / 애정 행각 風文 2020.06.15 1502
3051 백열 / 풋닭곰 風文 2020.05.09 1505
3050 전설의 마녀, 찌라시 / 지라시 風文 2020.06.16 1516
3049 표준발음, 구명동의 風文 2020.05.08 1531
3048 튀르기예 / 뽁뽁이 風文 2020.05.21 1533
3047 평어 쓰기, 그 후 / 위협하는 기록 風文 2022.12.07 1547
3046 전통과 우리말 / 영애와 각하 風文 2020.06.17 1560
3045 청마 / 고명딸 風文 2020.05.23 1568
3044 -시- ① / -시- ② 風文 2020.06.21 1568
3043 되갚음 / 윤석열 風文 2020.05.19 1582
3042 위드 코로나, 아이에이이에이 風文 2022.10.05 1584
3041 쳇바퀴 탈출법(1~3) 風文 2022.10.01 1588
3040 프레임 설정 風文 2022.02.06 1612
3039 ‘쫓다’와 ‘쫒다’ 風文 2023.07.01 1618
3038 빛깔 이름/ 염지 風文 2020.05.18 1620
3037 와이로 / 5678님 風文 2020.06.05 16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 156 Next
/ 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