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8.06.18 01:18

옥쌀·강낭쌀

조회 수 8894 추천 수 7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옥쌀·강낭쌀

북녘말

옥쌀은 “강냉이농마와 강냉이가루, 밀가루를 한데 섞어서 흰쌀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강냉이농마는 ‘옥수수 녹말가루’의 북녘말이다. 옥쌀은 1981년에 나온 <현대조선말사전>(제2판)에 처음 실렸다. 옥쌀은 1970년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인다. 이후 사전에 추가된 말로 ‘옥쌀기계·옥쌀공장·옥쌀혁명’ 등이 있다. 북녘에서 옥쌀기계와 옥쌀공장을 만들어 생산량을 늘린 것은 식량난을 해결하려는 노력이라 할 수 있겠다.

강낭쌀·강냉이쌀은 “강낭알을 타개서 겨를 벗기고 만든 쌀”이다. 강낭알은 옥수수 알을 가리키고, ‘타개다’는 “낟알을 망돌(맷돌)로 갈아서 쪼개는 것”이다. 남녘에서는 “콩을 타서 콩국수를 만들다”와 같이 ‘타개다’ 대신 ‘타다’를 쓴다. 강낭쌀은 ‘옥수수쌀’이다.

지금은 음식물 쓰레기가 너무 많아 문제지만, 남녘도 식량난에서 벗어난 지는 그리 오래 되지 않았다. 불과 삼십 년 전만 해도 보릿고개, 춘궁기가 있었다. 남북 국어사전을 보면, ‘강피쌀·상수리쌀·핍쌀(피쌀)’ 등이 있다. 이제는 곡식으로 여기지 않는 강피·상수리·피의 열매를 식량으로 먹었던 것이다. ‘귀리쌀(귀밀쌀)·기장쌀·녹쌀·메밀쌀·밀쌀·보리쌀·생동쌀·수수쌀·율무쌀·좁쌀’ 들도 있는데, ‘쌀’이라는 말이 붙은 것을 볼 때, 이들을 쌀처럼 중히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이제는 건강을 생각해 잡곡밥을 먹고, 잡곡이 쌀보다 비싼 것도 있다. 하지만 세계에는 북녘을 포함한 여러 나라가 식량난에 허덕이고, 식량이 무기가 될 날이 온다는 점도 알아둬야겠다.

김태훈/겨레말큰사전 자료관리부장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 목록 바람의종 2006.09.16 65110
공지 새 한글 맞춤법 표준어 일람표 file 바람의종 2007.02.18 211711
공지 간추린 국어사 연대표 風磬 2006.09.09 226394
1654 어금니, 엄니 바람의종 2010.10.06 8951
1653 축적과 누적 바람의종 2010.03.08 8952
1652 내일 뵈요. 바람의종 2009.07.07 8953
1651 안 / 않 바람의종 2008.12.08 8958
1650 바통 바람의종 2009.10.02 8960
1649 빨강색, 빨간색, 빨강 바람의종 2008.11.27 8962
1648 니, 네 바람의종 2011.10.25 8964
1647 꽃사지 바람의종 2009.05.15 8968
1646 딸리다, 달리다 바람의종 2009.02.19 8968
1645 언니와 학부형 바람의종 2011.10.25 8970
1644 푼돈 바람의종 2007.03.31 8973
1643 표식(?), 횡경막(?) 바람의종 2008.06.28 8974
1642 파이팅 바람의종 2009.06.01 8975
1641 쓸어올리다 바람의종 2008.01.15 8977
1640 ‘말밭’을 가꾸자 바람의종 2011.11.11 8977
1639 소행·애무 바람의종 2008.05.24 8984
1638 호칭과 예절 바람의종 2009.03.03 8988
1637 안갚음 風磬 2007.01.19 8994
1636 오재미 바람의종 2008.02.18 8994
1635 훕시 바람의종 2009.07.12 8995
1634 과욋돈 바람의종 2012.08.21 8996
1633 에프원(F1) 바람의종 2011.11.21 8997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 157 Next
/ 157